명리학 대가大家의 불행, 왜 돈을 피하지 못했나?

2022. 6. 14. 23:47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명리학 대가大家의 불행, 왜 돈을 피하지 못했나?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1960년대 - 70년대 그 당시 전국에 잘 알려진 명리학 대가를 찾아 사주한번 보는 복채가 10만원 이상이었다면 참 대단한 금액이 아닐 수 없다. 그 당시 일반 주택 한 채 가격이 보통 250 - 300만원 수준이었으니 얼마나 엄청난 액수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도 하루에 수십명이 매일 찾아 온다고 하면 복채 수입은 상상을 초월하는 현금이 된다. 하루에 돈을 전부 헤아리지 못해서 가마니에 돈을 담아 놓았다는 일화가 거짓은 아니다. 명리학 대가의 위력이 그만큼 셌다.

 

그런데 그렇게 엄청나게 벌어들였던 돈은 이분들 대가에게 어떤 작용을 했을까? 이분들의 삶을 살펴보면 그 많았던 돈이 그 분들 인생의 기쁨과 활력과 안락함과 행복함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왜냐하면 명리학 대가 대부분은 불행한 말년을 보낸 것으로 잘 알려지고 있다. 고문의 후유증으로 몹쓸 치매에 시달리는 분들도 있었고, 두번의 이혼과 치매로 말년에는 그 엄청나게 벌어들였던 돈과 재산이 어디로 갔는지 궁핍한 삶을 살다 간 분들도 있다. 자식이 병마로 시달리는 것을 평생 지켜보아야 했던 대가도 있었다.

 

물론 이 모든 개인적인 불행이 엄청나게 벌어들인 복채 때문이라 규정하는 것은 너무 심한 오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돈의 한곳에 오래 머물지 못하는 무서운 속성과 잔인한 본성을 알고 나면 그런 이야기는 꺼내기 어렵다. 문제는 명리학 고수분들이 돈의 속성과 본성을 누구보다 훤히 알고 있었을 것인데 왜 그렇게 엄청난 돈을 버는 행동을 자제하지 못했냐 하는 것이다. 자기 그릇의 크기를 알고 그 그릇에 담을 수 있는 재물의 량을 짐작했을 만한 대가들이 왜 그런 엉뚱한 실수를 했는가 하는 문제는 지금도 수수께끼로 남는다.

인생은 영화와 비슷해서 끝장면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스토리 전개가 빠른 클라이맥스 부분은 오래 기억에 남는 장면이 없지만 항상 마지막 장면은 기억에 오래 잔영을 거두지 않는다. 인생의 말년이란 그래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명리학의 법칙에서 가장 많이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인간의 말년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와 관련된 부분이다. 고대에서는 자식들이 부모의 삶의 마지막 부분을 챙기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현대에서는 그런 일은 찾기 어렵다.

 

명리학에서 사주를 해석할 때 시주를 자식으로 보는 이유는 과거 시대 대가족 제도에서 본인의 사주에서 자식과 함께 생활하는 전제에서 판단하는 것인데 현대생활에서 자식이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일은 앞으로 십년 이후에는 찾아보기 어려운 생활방식이 될 것이다. 그래서 시주의 해석이 본인이 스스로 생활하는 시간과 공간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말이다. 자식을 인생 말년의 동반자로 믿는 일은 아련한 꿈이고 환상임을 지금이라도 깨닫아야 한다.

 

명리학 대가들이 놓친 안타까움은 욕심과 습관의 무서움이다. 매일 복채를 받는 일이 습관이 된 점을 깨닫지 못한 것이 돈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던 이유로 보인다. 돈은 묵히고 쌓아 두면 반드시 품 안의 칼을 사용하고 떠나는 법이다. 그릇을 넘치게 되면 반드시 추한 삶의 모습을 천하에 보여주는 일을 만나게 되는 법이다. 허영과 사치는 인생의 독약이고, 말년의 어려움과 고통을 예약하는 행동들이다. 운명에 뛰어난 식견을 지닌 명리학 대가도 못 피하는 돈의 습관과 벌어들이는 재미를 경고하는 것이 역설이지만 지금이라도 욕심을 자제하면 인생이 어둡지는 않게 된다.

https://youtu.be/8DtPTxshPuo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