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4. 09:16ㆍ명리학과 사주팔자
남성의 결혼과 자식, 논처재자록論妻財子錄 아내와 자식3,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남녀에서 자식子息의 문제는 자기 삶을 살아 온 인과因果에 따른 결과이다. 자식의 본성本性은 부모에 기인함과 같이 자식의 미래는 부모가 살아 온 인생의 궤적을 대부분 어긋나지 않고 밟게 된다. 부모의 과거가 자식의 현재의 삶으로 나타나는 것을 세심하 관찰하면 알 수 있다. 사람들이 이런 하늘의 법칙인 천리天理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현재의 삶을 마구잡이로 쉽게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현재의 삶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이다.
부모에서 자식의 자리는 시지時支가 되고,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이 자식子息의 육친이다. 남성에서 자식은 배우자인 아내가 일지 처궁妻宮에 안착함으로 얻어지는 존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간이 신강身强한 경우, 자식子息인 정관正官을 살필 때에는 동시에 재성財星의 여부를 함께 살펴야 하고, 편관偏官을 살필 때에도 식신食神을 함께 확인해야 한다. 만약 일간이 신약身弱하면 관성官星을 살피기에 앞서 먼저 인성印星의 유무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서락오는 남녀 공통으로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을 자식子息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일간이 생조生助하는 존재로서 남녀 공통으로 식상食傷이 자식子息으로 해석하는 것이 순리가 된다는 논지論旨였었다. 자식子息을 출산出産하는 생조生助의 의미로 볼 때 서락오의 주장이 틀린 것이라 볼 수는 없지만, 남성에서 자식子息이란 존재는 자기 본인 일간을 극剋하는 존재인 관성官星으로 인식하는 기존 법칙이 실제 삶에서 나타나는 직접적인 현상과 더 일치하는 합리성을 지닌 해석이라 볼 수 있다.
남성의 사주에 재성財星이 왕성한 경우와 식신생재食神生財의 경우에서 재財는 아내이고, 왕성한 기운을 가진 재성財星은 관官을 생조生助할 기운이 강하기 때문에 관성官星이 사주에 강하지 않더라도 자식子息을 많이 얻게 된다. 반대로 신약身弱한 일간에 인성印星이 강한 재성財星에 파극破剋을 당하는 경우와, 사주에 관성官星이 많은데 상관傷官의 극제剋制가 없는 경우에는 자식子息이 없거나 숫자가 적게 된다.
서락오는 자식의 수數를 가늠하는 고법으로 12운성運星으로 예측하는 장생목욕가長生沐浴歌를 이야기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시주時柱에 자리한 관살官殺이 장생長生이 되면 4명의 자식을 둘 수 있지만 중순中旬을 지나면 2명으로 줄어든다. 시주時柱 관살官殺이 목욕에 자리하면 뛰어난 자식을 2명 얻게 되고, 관대冠帶와 건록建錄에 관살官殺이 자리하면 자식은 3명이 되고, 제왕帝旺에 관살官殺이 자리하면 5명의 자식을 둘 수 있다. 쇠衰는 자식이 2명이고, 병病과 절絶에 자리하면 자식이 1명이고, 사묘死墓에 자리하면 자식을 얻지 못한다.
태胎는 딸이 강强하고, 양養에 관살官殺이 자리하면 남는 자식이 1명이라 본다. 이 장생목욕가長生沐浴歌는 자식의 수數를 살피는데 참고할 내용이다. 자식은 희용신熹用神으로 생왕쇠패生旺衰敗로 다수多數를 판단하고, 성패구응成敗救應으로 유무有無를 가늠함이 법칙이다.
'명리학과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병과 정기신精氣神, 양신기陽神氣 음정기陰精氣 육체 건강, (1) | 2024.12.16 |
---|---|
남성의 자식과 성별, 논처재자록論妻財子錄 자식의 성별4, (8) | 2024.12.06 |
남성의 결혼과 아내, 논처재자록論妻財子錄 결혼과 아내 2, (0) | 2024.12.04 |
남성 결혼과 가정, 논처재자록論妻財子錄 아내와 자식 1, (4) | 2024.11.29 |
부자와 가난뱅이 구별, 간빈부법看貧富法 사주판단 (2)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