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와 가난뱅이 구별, 간빈부법看貧富法 사주판단

2024. 11. 27. 10:55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부자와 가난뱅이 구별, 간빈부법看貧富法 사주판단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인간의 사주팔자와 운명은 모두 오행五行의 작용이다. 이 오행이란 인간의 운명에서 귀천貴賤과 빈부貧富를 결정하는 작용을 일으키게 되는데 오늘은 빈부貧富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음양陰陽으로 이뤄진 기운은 음양지기陰陽之氣, 기운의 두터움과 엷음이 있는 법이고 유후박有厚薄, 기운의 모임과 흩어짐도 있고 유취산有聚散, 사람의 운명은 이를 받아 태어난 것이다는 인명품지人命稟之 구절로 시작된다. 부자富者의 경우 최고 부자인 상부上富와 중단 단계인 중부中富와 가장 아래인 하부下富의 3단계로 구분하고, 빈자貧者의 경우 빈貧과 최악의 가난인 극빈極貧의 2단계로 구분한다.

 

부자와 가난뱅이를 구별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육친六親 재성財星과 식상食傷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육친六親의 판단에 앞서 먼저 부격富格과 빈격貧格의 기질氣質을 먼저 구별한 다음 육친의 상호작용을 더해서 판단하는 것이 오랜 고법古法이다. 오행은 각각의 본성에 따라 고유한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 것을 기체氣體라 부르고, 그 기체氣體는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오행에 따라 기운의 두터움과 얇음의 후박厚薄 작용과 비슷한 세력이 모이고 흩어지는 취산聚散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사주 일간을 인간으로 해석하면 정신精神과 육체肉體로 양분될 수 있다. 기체氣體는 육체肉體를 의미한다. 정신精神은 정精과 신神으로 나눠지는데, 음陰의 일족으로 육체肉體에 의한 정기精氣와, 양陽의 일족으로 영靈에 의한 신기神氣로 구별된다. 육친으로 정기精氣와 신기神氣를 확인하면, 정기精氣는 음陰의 기운으로 일간을 생조生助하는 작용으로 인성印星과 비겁比劫으로 본다. 신기神氣는 양陽의 기운으로 일간을 극설剋泄하는 작용으로 식상食傷과 재성財星과 관성官星으로 본다.

 

일간 기체氣體가 월령月令 한 경우와 인성과 비겁比劫이 생조生助하면 후厚가 되어 기체氣體가 왕성한 것이다. 일간 기체氣體가 박薄한 경우는 실령失令에 인성과 비겁이 없어 조력을 받지 못한 쇠약衰弱한 상태이다. 일간이 산聚인 것은 생조生助하는 작용과 극설剋泄하는 작용이 균형과 중화를 이룬 최적의 상태이다. 일간의 기체氣體가 산散하는 것은 생조生助와 극설剋泄의 작용이 어느 한쪽이 너무 편중되어 균형을 잃어 태강太强과 태약太弱의 상태로 편고偏枯된 것을 의미한다.

 

부격富格이란 재성財星이 극충剋沖되지 않아 청淸해야 하고, 기세가 강왕强旺해야 마땅하고, 식상과 관성 가운데 통관通關작용을 재성이 잘 할 수 있어 기운이 잘 소통되는 격국을 의미한다. 재성財星의 기체氣體가 앞에서 설명한 후취厚聚해야 함은 당연한 주문이다. 빈격貧格이란 재성財星이 극충剋沖되어 훼손을 당해 기운이 탁濁하고, 기세가 미약微弱하고, 식상과 관성에서 재성財星의 통관通關작용이 막힘으로 기운이 차단되어 불통不通되는 격국을 의미한다. 이때 재성財星의 기체氣體는 박산薄散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

https://youtu.be/I1eK3L-mRsQ?si=mkn91yEWVNBZXl3I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