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은 후퇴 않는다, 마음은 다음 생生으로 이어진다,

2024. 7. 24. 06:33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정신은 후퇴 않는다, 마음은 다음 생生으로 이어진다,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모든 생물은 성장의 맨 끝에서 다시 성장을 시작한다. 가장 쉽게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성장 시스템은 나무와 같은 초목들은 작년 가을 성장점의 맨 끝에서 다시 성장을 시작한다. 그래서 매년 키가 더 크고 몸집이 풍성해지는 것이 성장의 기본 원리이다. 인간의 육체도 동일한 성장 패턴을 지닌다. 뱃살이 늘어나는 원리도 마지막으로 찐 그 위치에서 다시 살이 찌기 시작한다. 아이들이 키가 크는 원리도 수목樹木이 성장하는 방식으로 차츰 키높이를 키워가는 것이다.

 

육체나 물질의 성장은 유전적 한계까지 최대한 성장할 수 있다. 모든 성장은 유전적인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무한대로 성장할 수 있다. 모든 생명체는 고유한 유전적 한계까지 성장을 지속하게 된다. 이것이 물질이 성장하는 한계가 된다. 그러나 물질을 지탱하는 또 다른 생명인 정신과 마음은 유전적인 한계에 묶이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정신精神은 물질과 함께하는 이성과 감성의 오감체계를 의미하고, 마음은 생명의 순환체로 영혼을 의미한다.

 

생명은 반드시 죽는다. 모든 존재는 소멸하게 된다. 인간도 그렇고, 지구도 그렇고, 태양계도 그렇고, 우주도 반드시 어느 시점에는 완전히 소멸되는 존재들이다. 생명을 받은 존재들 중에서 영원히 생명을 존속시킬 수 있는 존재는 없다. 이 존재란 물질을 바탕으로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이다. 바꿔서 말하면 모든 물질은 유한성을 숙명으로 지닌다. 일정 기간 동안 그 물질의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 기간이 지나면 어떤 예외도 없이 반드시 사라지고, 소멸될 수 밖에 없다. 자연법칙에서 불필요한 단어가 예외나 특별이나 돌연변이와 같은 말이다. 나타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그때 나타난 것이지 특별하게 돌연변이로 나타난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정신은 육체와 함께 일정 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음은 다르다. 마음은 지식知識은 간직하지 못하지만, 정신의 버릇이나 습관인 습習은 지우지 않고 보존한 상태로 생명의 마지막 순간에 몸을 떠난다. 마음은 죽음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정신의 마지막 단계와 습習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생에 태어날 때 전생의 최고 정점에서 다시 정신을 재부팅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음이 기억한 정신의 가장 높은 정점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마음의 작용으로 그렇게 지식知識은 인간의 세대를 바꿔 더 높이 발전할 수 있고, 문명도 진보할 수 있었다. 매년 태어나는 신생아들의 지능지수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는 원인에 대한 설명이고, 학업성취도가 뛰어난 학생과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다. 한번 깨닫음을 얻은 마음은 다음 생에 다시 인간의 몸으로 환생할 때에도 그 깨닫음의 습習에서 다시 출발하기 때문에 수행자에서도 수행의 기간이나 깊이와 무관하게 깨닫음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명리학 공부는 법法과 술術로 구분이 가능한데, 법法은 4계절의 자연법칙과 같은 것이고 술術은 4계절의 본성의 혜택과 같은 것이다. 명리학을 법法이라는 근본 관점에서 배우면 마음 공부를 겸할 수 있다. 마음이 성숙하고, 단순한 지식知識에서 깊은 지혜智慧를 얻는 단계로 성장하면 참 귀한 습習을 얻게 되는 일이다. 지혜智慧의 성장이 현생에서 그치지 않고 다음 생生으로 연결 된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이 공부가 귀한 배움이 될 수 있다. 오늘 가다듬은 지식과 마음이 다음 생生의 귀천貴賤을 결정하는 중요한 소재가 된다. --

https://youtu.be/gTF-ehdDyos?si=zOr3jKMJ1pgKz5N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