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地支 지장간地藏干 구성,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비율,

2023. 6. 29. 07:50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지지地支 지장간地藏干 구성,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비율,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사주 해석에서 단순히 지지地支 오행의 작용에 머무르지 않고 암장간暗藏干의 작용으로 넘어가면 명리 공부가 어느정도 익숙해진 상태로 본다. 암장간의 작용을 살필 때 천간藏干에 노출된 암장간暗藏干 오행을 투간透干 현간顯干 명간明干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부르지만 의미는 동일하다. 암장간暗藏干은 생지生地와 왕지旺地와 묘지墓地에 따라 구성하는 숫자와 해당 기간에서 차이가 난다. 이런 점이 한 사람의 운명에서 격국格局을 결정하고 용신用神을 취하는 기준이 된다.

 

먼저 암장간暗藏干의 구성은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의 세 기간으로 구분이 된다. 여기餘氣는 지난 달의 정기正氣가 남아서 달이 바뀌어도 상당기간 지속되는 현상을 설명한다. 계절季節과 기상氣像 현상은 단칼에 종시終始를 바꿀 수 없어 점진적으로 바꾸기 때문이다. 중기中氣의 암장간 작용이 가장 복잡하다. 각 계절을 시작하는 생지生地 인신사해寅申巳亥의 경우는 다음 계절의 정기正氣에서 양간陽干을 중기로 삼는다. 인寅월의 경우 중기로 다음 계절 정기가 되는 병丙화를 중기로 취하고, 사월巳月의 경우 중기로 다음 계절의 정기 경금庚金을 중기로 취하고, 신월申月의 경우 중기로 다음 계절 정기 임수壬水를 중기로 취하고, 해월亥月은 다음 계절 정기 갑목甲木을 중기로 취해 양간陽干으로 중기를 삼게 된다.

 

중기中氣의 작용에서 왕지旺地 자묘유子卯酉는 중기中氣를 취하지 않고 오월午月만 기운의 중화를 위해 중기 기토己土를 취하게 된다. 계절의 마지막 달인 묘지墓地 진술축미辰戌丑未는 지난 계절의 음간陰干을 중기中氣로 취한다. 진월辰月의 중기는 지난 겨울의 음간陰干 계수를 취하고, 미월未月은 지난 봄의 음간陰干 을목을 중기로 취하고, 戌月은 지난 여름 음간陰干 정화를 중기로 취하고, 축월丑月은 지난 가을 음간陰干 신금을 중기로 취한다. 생지生地 인신사해월寅申巳亥月은 중기로 다음 계절 정기의 양간陽干을 취하고, 묘지墓地 진술축미辰戌丑未월은 지난 계절의 정기에서 음간陰干을 중기로 취한다. 생지生地는 앞을 내다보고, 왕지旺地는 현재에 집중하고, 묘지墓地는 지난 일을 마감하는 의미가 된다.

 

정기正氣의 작용은 그 달의 기운을 정할 때 지지地支가 양간陽支이 되면 정기正氣를 양간陽干으로 취하게 되고, 지지地支가 음간陰支가 되면 정기正氣를 음간陰干으로 취하게 된다. 봄철에서 인월寅月의 경우 그 달의 양간陽干인 갑목을 취하고, 묘월卯月의 경우 그 달의 음간陰干인 을목을 취하는 원리를 적용 받아서 진월辰月의 경우 양간陽干 무토를 취하게 된다. 사월의 경우 양간陽干 병화를 취하고, 오월의 경우 음간陰干 정화를 취하고, 미월의 경우 음간 기토를 취한다. 신월의 경우 양간陽干 경금을 취하고, 유월의 경우 음간陰干 신금을 취하고, 술월의 경우 양간陽干 무토를 취한다. 해월의 경우 양간陽干 임수를 취하고, 자월의 경우 음간陰干 계수를 취하고, 축월의 경우 음간陰干 기토를 취하게 된다.

 

정기正氣에서 주의 깊게 살필 부분은 해자월亥子月과 사오월巳午月이다. 자월子月은 양지에도 정기는 음간陰干 계수癸水가되고, 해월亥月은 음지에도 정기는 양간陽干 임수壬水가 된다. 사월巳月은 음지에 정기는 양간陽干 병화丙火가 되고, 오월午月은 양지에도 정기는 음간陰干 정화丁火가 된다. 이런 변화는 음양陰陽의 기운이 극한에 도달하면 반대의 기운으로 변화하는 법칙에 따른 것이다. 오화午火의 경우 중기를 기토己土를 넣어 강력한 화火 기운을 제어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암장간의 구성은 계절의 균형과 중화를 이루기 위한 작용이다.

https://youtu.be/FCB_ukVWnb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