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4. 09:00ㆍ명리학과 사주팔자
일간 을목생월乙木生月, 천간론天干論 복습 을목생월乙木生月1,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등라계갑藤蘿繫甲은 갑목甲木에 의지하고 기대는 을목乙木의 유약함과 허약함을 잘 설명하는 법칙이라 본다. 이것은 을목乙木에 대한 엄청난 착각이다. 을목乙木의 강인함과 억셈을 표현하는 구절은 규양해우刲羊解牛로 양羊을 칼로 찌르고, 황소牛를 부위별로 해체할 능력을 지녔다는 의미이다. 양羊은 미토未土가 되고, 소牛는 축토丑土가 되니 유약하게 보이는 을목乙木의 강인함이 어느정도 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을목乙木이 정화丁火와 병화丙火를 품에 안을 수 있으면 봉황새鳳를 건너 뛸 수 있고 원숭이猴 등에 올라탈 수 있다는 회정포병懷丁抱丙 과봉승후跨鳳乘猴 구절에서 을목乙木의 대단함을 알 수 있다. 을목乙木의 식상食傷 병정화丙丁火를 천간에 놓으면 유금酉金 봉황이 눈 아래이고, 신금申金 원숭이도 하찮게 보인다는 의미로 추동월秋冬月의 기세를 나타낸다.
봄철 을목乙木은 배나무와 복숭아 나무와 같고, 여름철 을목乙木은 논에 심긴 벼와 같고, 가을철 을목乙木은 오동나무나 계수나무와 같고, 겨울철 을목乙木은 난초와 같이 4계절季節 따라 변화하는 존재가 된다. 그래서 을목乙木은 갑목甲木과 달리 음목陰木으로 어느 하나의 본성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덩굴나무 을목乙木 여주驪珠(益知)는 한겨울 해자월亥子月을 피해 축월丑月에서 미월未月 사이에 출생하는 것이 꽃을 피우기에 가장 이상적이라는 의미가 익지좌축미월지위미益知坐丑未月之爲美이 된다. 계절별 을목乙木은 필요한 오행이 각각 다른데, 봄철은 木의 기세가 왕성해서 을목乙木도 배나무나 복숭아 나무가 되어 금金의 극제剋制를 두려워 않고, 꽃을 피울 수 있는 따뜻한 화火의 기운을 필요로 한다.
여름철 을목乙木은 논에서 자라는 벼와 같아서 반드시 자윤滋潤의 수水가 있어야 생기生氣를 얻게 됨은 뜨거운 여름 화火 기운을 이겨내기 위함 이기도 하다. 가을철 을목乙木은 오동나무와 계수나무와 같이 목질木質이 단단해 져서 화火로 금金을 극제 할 수 있어야 한다. 겨울철 을목乙木은 화火의 온기와 함께 토土의 배양培養이 더불어 필요한 계절이 된다.
을목乙木 일간에 천간 갑목甲木에 지지 인목寅木이 자리하면 등라계갑藤蘿繫甲이 되어, 봄에서 가을철까지 무탈하고 무난하게 갑인甲寅 겁재劫財의 도움을 받아 편할 수 있다는 가춘가추可春可秋라는 구절이 나온다. 허습지지虛濕之地 기마역우騎馬亦憂 구절은 해자월亥子月 동절기冬節期 을목乙木은 천간에 병정화丙丁火가 없고, 지지에 미술未戌 조토燥土가 없으면 지지에 오화午火가 자리해도 기운을 차리지 못하고, 꽃을 피울 수 없다는 의미가 된다.
한겨울에는 조후調喉의 균형을 위해 반드시 사주에 병정화丙丁火 기운이 필요한데 천간 화火 기운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강한 오화午火가 지지에 자리해도 역부족이다. 종從을 하지 않으면 빈곤한데, 을목乙木은 갑목甲木과 달리 종從을 쉽게 한다. 종은 양陽은 양陽에 종從하고, 음陰은 음陰에 종從하는 법칙을 따른다. 사주에 토土가 많으면 을목乙木은 재종財從을 논할 수 있다. 이때는 반드시 수水가 없어야 재종從財이 가능하다.
'명리학과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월 을목생월乙木生月, 천간론天干論 복습 을목생월乙木生月3, (10) | 2025.03.10 |
---|---|
일간 을목생월乙木生月, 천간론天干論 복습 을목생월乙木生月2, (0) | 2025.03.07 |
물질과 운명 명리학, 형이하학形而下學 명리학命理學, (2) | 2025.02.28 |
일간 갑목생월甲木生月 작용, 천간론天干論 복습 갑목생월甲木生月 6, (0) | 2025.02.24 |
일간 갑목생월甲木生月 작용, 천간론天干論 복습 갑목생월甲木生月 5, (2)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