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8. 06:38ㆍ명리학과 사주팔자
사주와 대세운大歲運, 삼위관법三位觀法 삼위일체三位一體,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운명의 가장 중요한 세가지 요인은 사주팔자四柱八字와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이다. 체용體用의 개념으로 보면 사주四柱는 운명의 중심근본인 체體가 되고, 대운大運 세운歲運은 쓰임으로 용用이 된다. 사주와 대세운은 운명의 입장에 볼 때 가장 중요한 세 요소가 집결된 삼위관법三位觀法으로 해석된다. 이것을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삼위일체三位一體가 되어 한 사람의 운명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사주팔자四柱八字는 인과因果에 의해 선척적先天的으로 길흉吉凶이 결정되어 출생하지만,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은 현생에서 진행되는 후천적後天的인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을 의미한다.
인간人間은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이라는 운명이 부여한 삼간三間의 틈새를 비집고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다.인간은 시간의 차원과 공간의 차원의 빈틈을 헤치며 자신에 합당한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래서 인간人間은 누구나 정신적인 4차원과, 현실의 시공時空 3차원과, 시간時間의 2차원을 쉽게 관통하는 존재로 각자의 삶을 구현하게 된다. 3차원의 현실에 묶인 존재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실제 인간은 다차원을 순간적으로 동시에 관통하며 살아가는 대단한 존재인 것이다.
삼위관법三位觀法은 인간의 운명이 가진 근본 속성인 다차원적多次元的 존재라는 사실에 대해 어렴풋하게 단서를 제공한다. 사주四柱와 운運의 상관관계는 다차원으로 해석하고 설명해야 의미가 분명해진다. 대운은 포괄적 전체 환경을 의미해서 국가와 사회적 환경으로 넓은 시공간의 개념이고, 세운은 개인적이고 제한적인 부분적 환경을 의미해서 근접생활권의 환경으로 개념이 된다. 10년 대운大運은 3년씩 운명의 계절적 요소를 포함하고, 세운歲運은 1년의 단기간에 실행되는 요소를 나타낸다. 대운大運은 인생 전체의 30년 마다 기운이 완전히 바뀌는 계절적 요소를 의미하고, 20년 단위의 변화에서도 기운이 바뀌는 전각운轉角運에서 노인과 흉격凶格은 사망으로, 청장년과 길격吉格은 재앙으로 길흉吉凶을 나타낸다.
1년 세운歲運의 작용에서도 3개월씩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에 크지 않지만 길흉은 작용하기 마련이다. 세운歲運의 작용은 대운大運의 작용과 비교할 때 30%로 추론하고, 대운은 70% 작용성을 나타낸다 본다. 노인과 흉격凶格이 사망하는 시점이 환절기에 집중되는 점이 바로 전각운轉角運의 작용과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대운과 세운은 길흉吉凶에서 보조를 맞춰 길흉을 더 크게 키운다. 대운大運은 지지地支를 중심으로, 세운歲運은 천간天干을 중심으로 대운과 같이 길하면 대길大吉이고, 같이 흉하면 대흉大凶이 된다.
대운大運은 월지月支의 연장으로 사주팔자의 길흉吉凶을 그대로 따르지만, 세운歲運의 천체운행을 따르기 때문에 오행의 길흉을 따라 해석이 다르게 나타난다. 대운과 세운은 사주에 따라 용신운用神運과 희신운喜神運과 구신운救神運과 기신운忌神運과 흉신운凶神運으로 각각 성격을 따로 해석하게 된다. 사주원국과 함께 운의 다양한 본성과 작용을 살펴 통변과 해석에 임해야 한다. 사주四柱와 운運이 함께 통변 되지 않으면 한 인간의 운명 해석과 길흉 작용은 헛된 이야기에 불과하다. 삼위관법三位觀法의 중요성은 삼위일체三位一體만큼 핵심적인 의미를 지닌다. --
'명리학과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지干支의 복습, 천간지지天干地支 이해, (0) | 2024.07.02 |
---|---|
사주에서 자녀子女, 관성과 식상과 인성 어느 쪽, (0) | 2024.07.01 |
인간의 유통기한, 제임스 다이먼의 재기再起2, (0) | 2024.06.27 |
만남과 이별 합충, 융합融合과 분리分離 에너지, (1) | 2024.06.25 |
무엇이 궁금한가? 서전서율筮前序律 삼요십응三要十應,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