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남과 이별 합충, 융합融合과 분리分離 에너지,

2024. 6. 25. 07:24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만남과 이별 합충, 융합融合과 분리分離 에너지,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우주만물宇宙萬物로 불리는 모든 존재는 고유한 본성本性과 그에 따른 기운氣運을 지닌다. 생명을 지닌 존재나 생명을 지니지 않은 무생물의 존재를 구분하지 않고 모든 존재는 생성生成에서 타고난 본성과 기운을 가진다. 이런 존재들은 같은 본성을 지고 동일한 기운을 지닌 다른 존재들과 융합融合과 분리分離의 과정을 끝없이 이어간다. 만물 속의 인간도 당연히 만남과 이별을 통해서 생명의 과정을 이어가는 존재이다.

 

현대과학에서 밝혀진 만남과 이별의 가장 큰 에너지는 핵융합 에너지와 그보다 작은 핵분열 에너지이다. 금속성의 단단하고 질량이 높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과 같은 물질의 작은 원자핵을 둘로 쪼개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우라늄 1kg으로, 석유 9천 드럼이나 석탄 3천톤의 열량과 같은 기운을 순간적으로 얻는다. 하나에서 둘로 분리되는 원자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기운이다. 이렇게 분리되는 에너지를 전기발전으로 사용하는 것이 원자력 발전이다.

 

분리되는 에너지를 활용한 원자력보다 수십 배 더 큰 에너지가 두 원자가 서로 결합하는 융합에너지이다. 단단하고 질량이 높은 물질이 만남으로 하나의 원자로 결합되는 원리가 핵융합이고, 이렇게 융합하는 과정에서 원자력보다 훨씬 강력한 태양과 같은 엄청난 뜨거운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현대과학에서 발견된 미세한 원자의 융합과 분리의 작용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에너지와 기운을 활용하며 문명은 발전하고 있다.

 

인간은 원자를 지닌 약 30 - 40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생명체이다. 인간의 본성本性은 명리학에 의하면 타고난 오행五行을 기본으로 하고, 그 오행五行 기운氣運을 근본으로 지닌 존재이다. 사주 일간日干이 각자 타고난 오행五行의 본성本性이고, 그 오행五行 기운氣運을 지닌다. 목木 일간日干이면 본성本性은 목木이 되고, 목木이 나타내는 기운氣運을 가진 존재인 것이다. 기운이 강한 금金 일간日干이면 본성本性은 금金이 되고, 금金이 나타내는 기운氣運을 가진 존재이다.

 

그런데 인간은 만남과 이별을 수없이 반복하며 인생을 살아가는 존재인데 왜 원자력 같은 엄청난 에너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일까? 단순히 물질의 차이점 때문에 그런 강력한 에너지가 발생되지 않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당연히 인간의 만남과 이별에도 엄청난 에너지와 기운이 발생한다. 무생물 물질에서 발생되는 강제적인 융합과 분리의 에너지는 눈앞 현상의 세상에서 나타나는 것에 그친다. 그렇기 때문에 강하고 엄청난 에너지가 된다. 반복되지 않고, 한번의 현상으로 종결되기 때문에 모든 에너지가 한 순간 찰나刹那에 집중되기 때문에 더 없이 강한 기운이 된다.

인간의 만남과 이별이 그리 강해 보이지 않는 것은 현상과 비현상의 모든 차원에 작용을 미치기 때문에 강해 보이지 않는 착시현상을 나타낸다. 작용의 진행기간도 수천년을 지속하는 오랜 지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당장 눈앞에서 엄청난 폭발력과 같은 에너지를 분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융합의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태양의 온도와 맞먹는 고온의 플라즈마 현상과 같은 뜨겁고 격정적인 사랑의 감정이 두 사람을 하나의 개체로 물리적 결합을 이루는 작용을 일으킨다.

사랑의 감정은 어떤 이별의 감정보다 더 크고 강력한 이유가 된다. 이별에서도 사랑과 미움의 감정이 각각 별도로 나타나는 원리도 원자핵 분열과 다르지 않다. 모든 만남과 이별의 기운에서 엄청난 기운이 발생하게 되고, 그 작용은 수천 년을 지속하게 됨을 알아야 한다. -- https://youtu.be/97GWc2EwSJQ?si=6fpa8S1RQZZTMR4P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