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뒤 흐르는 운, 정원貞元 사후운死後運 작용2,

2024. 6. 17. 08:38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죽음 뒤 흐르는 운, 정원貞元 사후운死後運 작용2,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사주팔자를 잡으면 동시에 대운大運이 월지月支를 따라 결정된다. 월지를 따라 대운이 길게 늘어서서 인생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어느 시점에 사주의 주인이 사망을 하드라도 운運은 계속 진행되는 의미는 무엇 때문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운運은 끝없이 이어지는 것인데 죽은 이후에 대운은 어떤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인지 지난 시간에 자식과 집안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사망 이후 지속되는 대운大運의 흐름이 희신喜神 방향인지 아니면 기신忌神 방향인지 여부에 따라 자식과 집안에 길흉吉凶의 작용을 해석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사망한 사주의 주인 명주命主에 대한 대운大運의 지속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일까 하는 문제가 이번 시간의 주제이다. 생명의 모든 이룸의 시작은 원元이 되고, 생명의 모든 변화는 정貞에서 그친다는 조화기어원造化起於元 역지어정亦止於貞이라는 적천수滴天髓 구절이 단서를 알려준다. 유백온은 적천수에서 생명을 가진 만물의 생명의 순환과 재생再生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생명의 순환은 정원貞元이 다시 만남으로 시작되고 새로운 생명으로 재 탄생되고 순환을 이어가게 된다는 재조정원지회再肇貞元之會 배태사속지기胚胎嗣續之機를 완성한다는 설명이다.

 

정원貞元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앞뒤 글자이고, 오행으로 수水와 목木이 되고, 계절로 겨울과 봄이 되어 생명의 끝終과 시작始을 의미하고, 동양철학의 종시終始 개념을 의미한다. 정원貞元은 우주의 기원起源과 소멸掃滅을 의미하고, 지상의 모든 생명을 지닌 만물이 생멸生滅하고, 순환循環하고, 재생再生하는 자연의 거대법칙을 두 글자로 함축한 단서이고 큰 의미이다.

 

사주팔자와 대운大運의 흐름은 단순하게 한 인간의 삶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볍게 해석하면 참으로 어리석은 일이고, 한쪽 눈을 감은 상태로 사물을 보는 것과 같다. 눈앞의 현상現象을 해석하는 일은 유형有形과 무형無形의 모든 법칙과, 인간人間과 신神의 작용을 관통하지 않으면 바른 해석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살아 생전生前의 인생에서 대운이 작용했다면 죽어 사후死後에도 대운은 마땅히 눈에 보이지 않는 혼백魂魄과 영靈에 작용하는 것이 지극히 합당하고, 합리적이다. 바른 도道를 깨치고 인간으로 순환하지 않는 존재로 나아가지 않았다면 대운大運의 작용에 영향을 받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인간의 몸을 다시 태어나는 존재를 벗어나기 지극히 어렵기 때문에 대운大運은 사후死後에도 반드시 살아 생전의 작용과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생명의 작용은 단 한순간도 중지되거나 멈출 수 없다. 인체가 단 일초라도 멈추면 죽음이 되는 원리이다. 생명의 작용과 소멸의 작용 모두 절대 중단되지 못하고, 중단 될 수도 없는 무한 순환의 작용이다. 생명이 멈추거나 쉬지 않고 생생生生을 이어가는 작용을 생생불식지기生生不息之機이라 한다. 생생生生은 죽은 상태에서도 그대로 작용된다. 죽음의 상태로 무한정 방치되는 일이 없다는 의미이다. 죽음의 소멸은 반드시 새로운 생생의 정원貞元 법칙을 따라 임신의 포태胞胎 작용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하고 상식적인 생명의 자연법칙이다.

희신喜神대운에 사망한 사람은 음덕을 타고나서 다음 생에서 행복하고 길吉한 운명으로 포태胞胎를 시작하게 될 것이고, 기신忌神대운에 사망한 사람은 인과의 청산이 마감되지 않아서 불행하고 흉凶한 운명으로 다시 포태胞胎를 시작하게 될 것이다.

https://youtu.be/CSEIqYkqTHI?si=uejhQyuaRDV3PdB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