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4. 5. 08:44ㆍ명리학과 사주팔자
사랑과 바람끼 재관식財官食, 많으면 바뀌는 다자편화多者偏化,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사주에 식신食神이 여럿이 자리하는 경우 다자편화多者偏化의 작용으로 상관傷官으로 변하게 된다. 식신食神은 항상 변화를 주도하면서 변화를 좋아하고, 새로운 조건과 상황을 반기지만 상식선에서 실제 생활과 직결되는 의식주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런 성향은 이성간의 교제와 부부생활에서도 나타난다. 상관傷官 역시 변화를 주도하고지만 규칙과 규정을 넘어서는 도전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실제 생활과 무관한 방면에 몰입한다.
사랑을 할 때에도 식신食神은 정신과 육체가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관傷官의 경우 육체적인 사랑에 더 심하게 빠지는 것으로 해석하게 된다. 식신食神은 현실 감각으로 격정적인 사랑을 제어할 수 있지만 상관傷官의 경우 격정적인 사랑에 더 심취하는 성향을 나타내게 된다. 식상食傷은 모두 변화에 민감하고, 상황의 변화와 조건의 변화에 예민한 만큼 자신이 가진 열정을 쉽게 노출 시키는데 더 자유로운 성향을 지닌다.
사주 일간과 재관성財官星이 가까이 자리한 경우 성적인 면이 더 강한 사람으로 해석한다. 남성에서 여성은 재성財星이고, 여성에서 남성은 관성官星이 되기 때문에 일간에 재관財官이 가까이 자리한 경우 그런 성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 해석할 수 있다. 재관성財官星이 일간 가까이 자리한다고 해서 성적으로 문란하다 볼 수는 없고, 배우자를 상대로 나타나는 점이 된다.
사주의 일지는 남녀 모두 배우자의 자리가 된다. 일지에 재관財官을 두게 되는 경우도 남녀는 성적인 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때 일주 가까이에 식신食神이나 상관傷官이 자리를 하게 되는 경우 바람둥이 기질을 가질 수 있음에 자제가 필요하다. 사주에 재관財官이 노출되지 않았다고 해서 재관이 없는 것이 아니고, 암장간에서 재관이 자리하면 재관의 작용을 그대로 나타내게 된다. 운에서도 재관운은 동일하게 재관의 작용을 들고 온다. 식상도 재관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암장된 재관財官이 정편正偏으로 혼잡한 경우 식상이 동반하게 되면 성적인 바람둥이 기질을 자제해야 한다. 재관財官은 자신의 한계를 지킬 수 있지만 식상은 재관財官을 부추키는 역할을 나타낸다. 식상食傷은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고, 능숙하게 대처하고, 쉽게 편승할 수 있기 때문에 본심과 전혀 다르게 이성적인 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적극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식상食傷은 남들의 이런 시선이 부담스럽지 않다는 점에서 도전적이라 본다.
많으면 강해지는 다자편화多者偏化는 식상食傷에서만 나타나는 작용이 아니고, 관성이나 재성이나 인성과 비겁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정관正官이 많으면 편관偏官으로 바뀌고, 정재正財가 많으면 편재偏財가 되고, 정인이 많으면 편인으로, 비견이 많으면 겁재로 변화된다 해석한다.
부부생활은 서로 아끼고 사랑하고, 밝고, 건전하고, 아름다운 것이다. 가정의 행복과 평화는 가족 모두의 행복이고 안락함이다. 적절하게 자제하고, 선을 넘지 않고 한계를 지킬 줄 아는 올바른 노력과 지혜로움으로 행복은 지켜지는 것이다. 결혼 생활이란 결국에는 자기 자신을 위한 노력인 것은 행복한 가족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명리학과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독한 인수印綬, 인수印綬 많으면 외롭다, (2) | 2024.04.15 |
---|---|
인생살이와 세상살이, 전진과 후퇴 세운歲運판단, (2) | 2024.04.11 |
호탕함과 내성적 성격구별, 간지음양배합干支陰陽配合과 용신用神기본, (0) | 2024.04.04 |
하늘은 덮고 땅은 싣고, 명리 기본 천부지재天覆地載, (0) | 2024.04.03 |
지금 이 사람 내 짝인가, 진짜 내 짝은 누구인가? (2)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