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만나는 인연因緣, 어떻게 짝을 찾아 만나나?

2022. 8. 8. 09:34주역과 인문 동양학

728x90
반응형

사람 만나는 인연因緣, 어떻게 짝을 찾아 만나나?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인연因緣이라는 단어는 이유와 까닭과 원인을 의미하는 두 단어가 모였다. 저 사람과 만나야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무슨 까닭인지 만나야 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인 셈이다. 인연의 결과로 만남은 이루어졌지만 그 만남의 속 사정을 분명히 알고 싶어하는 질문의 답을 찾는 것이 인연에 대한 공부의 이유인 셈이다.

 

인연因緣은 다른 말로 관계關係를 의미한다. 두 사람 사이를 연결시켜주고 묶는 상호작용이다. 인간은 출생 이전부터 관계에 얽힌 존재가 된다. 이 관계가 인간관계人間關係가 되고 인과관계因果關係도 된다. 가벼운 관계도 있고, 매일 무수히 스쳐지나는 일상의 큰 의미 없는 관계도 있다. 반면에 평생 이어지는 깊고 강한 관계도 있고, 뗄 수 없는 관계도 있다. 억지 떼 놓으면 병이 되어 죽음에 이르는 관계도 있기 마련이다. 

 

문제는 어떻게 80억명이 살고 있는 지구에서 완전히 새롭게 바뀐 자기 인연을 발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인연에 대한 이야기가 본 괘도에 진입하게 된다. 국내 5천 1백만명의 사람들 가운데서 지정된 짝을 찾을 수 있는 이유가 먼저 분명히 설명되어야 한다. 만약 해외에서 사람을 만나거나 결혼을 하거나 국제적인 교류를 한다고 했을 때 그렇게 되는 원인과 이유가 분명해야 인간관계가 상식적으로 이해가 될 수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동식물은 각각 고유한 성적 유혹물질인 페르몬Pheromone을 지닌다. 1미리 정도의 작은 나방이 발산하는 페르몬은 10KM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퍼져 나가서 자신의 페르몬에 반응하는 이성을 찾아낸다. 현재 동물에서만 페르몬 연구를 하고 있지만 식물들 역시 고유한 향기를 퍼트리는데 이것 역시 페르몬의 작용과 동일하다. 인간도 고유한 자신만의 페르몬을 지니지만 여러가지 냄새가 어지러운 탓에 기운으로 상대를 찾아내는 방법을 동원하기 쉽다. 

 

동기상구同氣相求 동성상응同聲相應의 법칙에 따라 인간은 자기와 관계된 인연의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지구상의 모든 존재는 필연성의 한계 안에서 제한된 우연성과 만남으로 무수한 변화를 이루어 간다. 인간은 페르몬의 작용을 최소한으로 그친다. 이성과 문명의 발달이 본능적인 페르몬의 발산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대신에 같은 기운을 감지하고, 같은 울림과 파장을 감지하는 능력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기운과 파장은 지구 전체를 감쌀 수 있을 만큼 확장성이 크다. 그래서 해외에서 사람을 만나게 되고,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사업이나 비즈니스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짝을 만나고 결혼 상대를 만나고 배필을 만나는 일은 현대사회에서는 무제한적이다. 비즈니스와 거래도 쉽고 어렵지 않다. 1mm 크기 나방의 페르몬 확산이 10km를 넘으면 1천만배 넓이가 되는데, 인간으로 대상을 바꿔 계산하면 지구 둘레 4만키로를 초과하는 넓이만큼 확산이 가능하다는 산술적인 계산이 나온다. 자기 인연을 만나는 법칙은 고유한 화학 성분인 페르몬과 동기상구同氣相求 동성상구同聲相求의 인연의 법칙에 의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깊은 인연을 가졌지만 전혀 새로운 모습의 이런 만남을 통해서 인간관계人間關係와 인과관계因果關係를 다시 시작하게 되는 것이 인생이 되고 삶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모습으로 새롭게 순환하는 것이 인간의 운명이고 새로운 길이 된다.

https://youtu.be/hMhSuXdMSG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