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목적은 재성財星이다, 안면근육 마비의 난치병,

2022. 4. 18. 06:45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인생의 목적은 재성財星이다, 안면근육 마비의 난치병,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amazon book - GOLD GAME 1-6,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인간은 소모성 존재이다. 운명과 삶은 물질을 소모함으로 생명을 이어간다. 식품과 의복과 무수한 사물들이 인간을 살려 나가기 위해 끊임없이 소모되고 생산된다. 인간만 그런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생명체들은 생명을 존속시키는 만큼 소모할 재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 세상에서 공짜로 주어지는 사물이란 없기 때문에 반드시 돈과 재물이 필요하게 된다. 집도 필요하고, 자동차도 필요하고, 술값도 필요하고, 명품 핸드백을 구입해야 할 돈도 필요한 것이 현대의 삶의 요구조건이다. 그래서 돈과 재물 즉 재성財星이 모든 인간들의 최고 목적이 된다.

 

사주팔자를 해석할 때 다양한 구성과 격국과 용신을 찾게 된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고매한 학문이나 남들이 인정해주는 높은 사회적 신분이 최종 목적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학문의 인성이나 고관대작의 관성이 마지막 목적이 되는 일이 없다는 말이다. 인성이나 관성 또는 재능이나 재주는 결국 돈과 재물을 벌어들이는 수단이 된다. 이런 격식 있는 자질이 없는 사람들은 비겁으로 조직폭력배가 되든지 다단계로 재성을 벌어들이려 하는 점은 격식 있는 자질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솔직히 말해서 겉과 속이 다른 격식보다 좀더 솔직한 면이 인간적으로 돋보인다.

 

재성이 목적이 되어 대부분 인생을 살아간다. 인사청문회를 보면 멀쩡한 인품을 자랑하던 인사들이 추악하게 거꾸러지는 장면을 볼 때가 많다. 물론 부끄럼도 없으니 그런 얼굴로 인사청문회 자리에 앉아서 추궁을 당하는 것이겠지만 모든 문제는 돈과 재물로 인한 문제가 시초가 되는 경우가 전부이다. 자식들에게 돈을 쉽고 안정되게 잘 벌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서 위법을 저지르고, 남들보다 더 많이 벌고 챙기기 위해 권력과 신분을 200% 이상 활용하게 된다. 왜 200% 이상이냐 하면 부부 각각 100%이상 활용했기 때문에 두배를 곱한 수치가 된다.

 

재성이 이렇게 부끄럼도 없고, 수치스럽고, 위법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는지 모를 일이다. 재財는 귀중품을 의미하는 패貝와 재능을 의미하는 재才가 결합된 글자이다. 자신이 가진 식상食傷의 능력으로 귀중한 품목을 얻는 것이다. 재財는 남의 것을 강탈하거나 빼앗을 수 없기 때문에 이利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얻어야 한다. 정당한 이익인 이利는 벼 이삭을 의미하는 화禾자와 칼을 의미하는 도刀자가 결합된 단어이다. 칼이 벼 이삭을 베어 얻어진 것이 이利가 된다. 노동과 정당한 땀의 결실이고 그만큼 정당함을 지키는 칼의 엄중함이 결합된 단어가 이利가 된다.

 

정당하지 못한 재성財星은 패가망신敗家亡身과 목욕살沐浴殺과 망신살亡身殺이 겹쳐서 온 가족을 쓰나미같이 덮친다. 몇 사람은 속일 수 있어도 천하의 눈은 속일 수 없는 법이다. 돈과 재물은 절대 나쁘지 않다. 오히려 모든 인간들이 추구해야 하는 가장 필수적인 삶의 요소가 된다. 그런데 문제는 반칙과 위법과 편법에 대한 양심의 마비현상이다. 이것은 자리가 높을수록 많이 발병되는 후안무치厚顔無恥의 무서운 난치성 질병이다. 안면근육의 이상 비대증이 가져온 암癌과 같은 질병이다.

 

정당한 재물을 얻기 위해 사람들은 노력하고 열심히 살려고 안간힘을 쓴다. 높은 사람의 노력이 더 크거나 더 정당할 수 없는 것은 모든 인간의 운명과 삶의 근본이 동일하고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죽은 모습이 무엇이 다른지 찾지 못하기 때문에 모두 평등한 존재인 것이다.

https://youtu.be/cMSqQ8laYP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