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갑목생월甲木生月 작용, 천간론天干論 복습 갑목생월甲木生月 1,

2025. 2. 18. 17:16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일간 갑목생월甲木生月 작용, 천간론天干論 복습 갑목생월甲木生月 1,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갑목甲木은 씨앗에서 발아된 순수한 생명이라 해서 출갑우갑出甲于甲이라 부른다. 갑목甲木은 陰을 내재하지 않은 순수한 陽의 기운으로 진취적이고, 도전적이고, 선두를 지키려 하고, 미래지향적이고, 밝고, 활기를 잃지 않는다. 갑목甲木은 외부 충격에 의한 부러짐에 약해서 한번 꺾이거나 좌절하면 회복이 무척 어렵고, 재기再起가 힘든 단점을 지닌다. 순수한 양陽의 기운은 본능적으로 음陰의 기운에 취약하고, 음陰의 유혹에 쉽게 무너지는 약점을 지닌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갑목甲木은 기운이 순수한 양목陽木이고, 기세가 웅장하고, 하늘을 치고 오를 듯해서 순양갑목純陽甲木 참천웅장參天雄壯이라 표현한다. 다른 오행과 마찬가지로 갑목甲木도 출생하는 생월生月에 따라 나타내는 작용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갑목甲木에서 가장 중요한 오행은 화火와 금金과 토土가 되는 것은, 식상食傷으로 자식인 화火와, 관官으로서 금金과, 재財로서 토土가 되어 식상관재食傷官財를 의미한다.

 

갑목甲木이 봄철 인묘월寅卯辰월에 출생한 경우 관성官性이 되는 금金은 가장 취약한 쇠절기衰節氣에 접어들어 기운을 쓸 수가 없어 금金의 존재 자체를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이 나타난다. 갑목甲木이 하절기夏節氣 여름철에 출생한 경우 성장에 필요한 화火 기운을 얻게 되어 무성하게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호시절을 만난 것으로 본다. 갑목甲木이 가을철 추절秋節에 태어난 경우 금金을 돕는 토土의 작용에 배신감을 가져 토土의 존재를 무시하는 작용성을 나타내게 된다. 갑목甲木이 겨울철 동절기冬節期에 출생한 경우 차가운 얼음물과 한파寒波로 제대로 성장하기 힘든 각박한 상황에 몰리게 되어 인목寅木이 절실히 필요하게 된다. 생월生月에 따라 오행의 작용에서 길흉吉凶이 다르고, 사주에 필요한 오행 역시 다르다.

 

한여름 사오미巳午未 병정丙丁으로 불길이 너무 강하면 수고水庫가 되는 진토辰土가 필요하고, 한겨울 물기운이 임계壬癸 신자진申子辰으로 너무 과도하면 화火의 장생지長生地인 비견 인목寅木의 도움이 필요하다. 진토辰土는 강한 불길을 설기할 수 있고, 인목寅木은 왕성한 물길을 받아들여 설기할 수 있다. 진토辰土는 용으로 화치승용火熾乘龍이고, 인목寅木은 호랑이로 수탕기호水蕩騎虎가 된다. 가을철 토土는 자식인 금金을 우선해서 남편인 목木을 배신하고 얼굴을 바꾼다 해서 추불용토秋不容土가 된다.

 

갑목甲木은 사주 오행에서 금金의 기운이 너무 강하거나 예리하지 않고, 토土가 두터운데 메마르고 건조하지 않고, 화火 기운이 너무 과도하게 뜨겁고 치열하지 않고, 수水 기운이 홍수를 이루어 몰아치지 않는다면 천년千年 세월을 곧고 바르게 잘 성장할 수 있다 해서 식립천고植立千古라 했다. 갑목甲木의 사주오행 구성과 환경이 그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https://youtu.be/pkIp14n6_Ws?si=V_g-2tL2GKilgqAo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