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6. 09:13ㆍ명리학과 사주팔자
명리학 두가지 목적, 무엇에 쓰나 사주팔자四柱八字,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인간은 만물萬物과 동일하게 혼자인 개체적 존재이지만 여럿이 함께 공생共生하지 않으면 생존生存할 수 없다. 모든 인간은 명리학에서 이야기하는 자기 혼자만의 개별적인 운명運命인 고유한 사주팔자四柱八字를 지닌 존재들이다. 각각 다른 운명運命을 지닌 인간들이 모여 살아가는 환경이 사회社會와 국가國家를 이루는 것이다. 태생적으로 여럿이 함께 살아가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는 인간들이지만 인간은 공생共生에서 불편함을 느끼고, 다투거나 투쟁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인간 사회社會의 역사는 자신과 다른 인간을 적敵으로 판단해서 사회에서 몰아내려 끊임없이 시도한다. 그것이 공생을 위협하는 행위임을 모른 체 말이다.
명리학命理學은 인간의 운명을 담은 사주팔자四柱八字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위한 학문이다. 동양학東洋學의 논리와 법칙을 바탕으로 한 인간이 인생을 살아 갈 때 나이와 시기에 따라 겪어야 되는 길흉吉凶의 강약强弱을 판단하고, 성쇠盛衰의 원인原因을 세심하게 추론推論하는 순수한 인문학人文學이고 철학哲學이다. 그렇다면 이 명리학의 목적은 무엇인가?
인간은 누구나 선험적先驗的으로 자신에게 다가오는 위험과 재난에 대한 미세한 경고를 사전事前에 감지感知할 수 있다. 개인별 차이에 따라 더 크고 정확하게 느끼는 사람도 분명 존재한다. 이런 경고를 받으면 그때 사람들은 명리학이나 무속巫俗을 찾아 앞으로 일어날 길흉吉凶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 한다. 이런 사전 정보를 얻기 위한 행위를 살핀다는 의미의 점占이라 부른다. 앞으로 일어날 사건의 정보를 점占으로 미리 아는 것을 예지豫知라 한다.
예지豫知는 사건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특정한 시기의 개별적 사건의 결과를 미리 알아 보는 예지豫知가 있고, 한 사람의 인생 전체의 흐름을 통해서 운명적인 전체 상황을 판단하는 예지豫知도 있다. 명리학은 정확히 이야기하면 인생 전체의 운명적 상황을 사주팔자로 판단해서 길흉吉凶을 미리 알아내는 학문으로 후자後者에 속한다. 출생에서 사망할 때까지 전체 인생의 흐름과 운명을 판단해서 위험한 시기에 재난을 피하고, 준비된 복을 받을 수 있도록 미리 예지豫知를 알려주는 피흉취길避凶取吉을 위한 학문으로 가치를 지닌다.
이것이 인간을 위한 일차적一次的인 명리학의 목적이다. 그 다음 목적은 차원이 다르다. 명리학은 인간의 본성本性을 귀천貴賤으로 구분하고, 인간의 자질資質과 품격品格을 격국格局으로 결정하는 학문이다. 이것은 자기 자신의 품격品格을 미리 아는 예지豫知를 통해서 자기 자신을 정확히 판단하라는 의미가 된다. 인간의 삶은 단순히 물질적인 생명체로 존재하기 위해 세상에 태어난 존재가 아님도 더불어 알라는 의미이다.
자신의 품격品格과 수준水準을 정확히 이해함으로 무엇을 위해 자기 자신을 다듬고, 승화 시켜야 하는지 알고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명리학이 인간을 위한 이차적二次的인 목적이다. 마지막 예지豫知를 알지 못하면 그 사람의 인생은 바쁘지만 얻은 것이 없는 노과불성勞過不成의 인생이 될 것이다. 목적도 없고, 의미도 없는 인생을 그냥 바쁘게 살아 간 것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명리학과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삶을 의심 말라, 운명을 의심해선 안된다, (1) | 2025.01.10 |
---|---|
길흉과 순서와 위치, 담론談論 생극선후분길흉生剋先後分吉凶, (0) | 2025.01.08 |
전공과 진로선택, 입학시즌과 명리학, (1) | 2025.01.03 |
운명은 어떻게 바꾸나, 타고난 사주팔자 바꾸는 법, (1) | 2024.12.26 |
모두 삼위일체三位一體, 세상은 삼위三位가 하나로 이룬다, (1)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