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집과 아집 일주, 주장하는 고집 집착하는 아집,

2024. 4. 24. 08:36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고집과 아집 일주, 주장하는 고집 집착하는 아집,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비슷한 단어로 보이지만 실제는 완전히 다른 단어가 고집固執과 아집我執이다. 밖으로 표출되는 성격이나 성향도 완전히 다르지만 언어로 표현하면 비슷해 보인다. 고집固執은 옳고 그름이 분명하지 않은 시점에 자신의 생각을 강하게 주장하는 언행을 가리킨다. 반면 아집我執은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끝까지 자신의 생각을 굽히지 않고 주장하는 언행을 말한다. 고집固執은 자신의 생각에 대한 신념과 믿음에서 주장을 굽히지 않고 버티는 행동이고, 아집我執은 무조건 자신의 생각이 옳을 수 밖에 없다는 믿음으로 완전히 다른 상황에서도 버티는 행동을 의미한다.

 

힘들지만 고집固執은 자신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객관적인 사실이 나타나면 주장을 굽히거나 수정할 수 있다. 집착하는 아집我執의 경우는 모든 상황이 자신의 주장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해도 주장을 끝까지 굽히지 않는다. 고집은 가을 늦게 낙엽이 지는 활엽수 계통의 수종이라 한다면, 아집은 침엽수로 한겨울에도 독야청청하는 수종이 된다.

 

명리학에서는 이런 유형의 성격을 양간지陽干支와 음간지陰干支로 구별한다. 양간지의 경우 간지가 같은 양오행으로 구성되면 고집固執을 나타낼 기질을 가질 수 있다 본다. 음간지의 경우에도 간지가 음오행으로 구성되면 아집我執을 나타낼 수 있다. 양陽의 기운은 자신의 주장을 강력하게 표출하는 것으로 보고, 음陰의 기운은 주변 상황에 주눅들지 않고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것으로 해석한다.

 

간지干支가 비견比肩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런 경향은 더 강하게 표출된다. 특히 음陰 오행의 경우 간지가 비견으로 구성되는 경우 아집我執을 나타내는 성향이 더 강하게 표출된다. 을묘乙卯 일주와 신유辛酉 일주가 다른 일주와 비교에서 가장 강한 성향을 나타낸다. 자신의 생각을 절대로 굽히지 않는 초연함을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일에는 엄청나게 집착하는 성향이 된다. 사회성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자신에게 이롭지 않으면 어떤 일이라도 무관심으로 대응하는 성향을 지닌다.

 

을목乙木과 신금辛金은 남녀를 불문하고 미모가 빠지지 않는다. 보석의 본성인 금金의 차갑고 깔끔한 매력의 신금辛金과, 을묘乙卯의 도화桃花는 다소곳하고 화사한 매력을 나타낸다. 호감을 주는 용모와 단정한 언행과, 깐깐하고 자신의 생각을 고집하고, 이해타산과 계산이 빠른 현대인의 가장 이상적인 성향을 지닌 사람이다. 인기를 얻고 있는 연예인에서도 이런 일주를 가진 사람들이 다수이다.

 

음일주陰日柱로 간지干支를 비견比肩으로 이룬 경우에는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 아집我執의 문제에 대해서 깊은 숙고가 필요하다. 자신의 생각과 주장에 너무 집착하지 않는 것이 상식적이기 때문이다. 적당한 선에서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주장을 수용하고,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조정하고,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너무 자신의 생각에 골몰하고 집착하면 사회생활이나 인간관계에서 소외되기 쉽다. 운명과 인생은 아집我執과 고집固執만으로 살아갈 수만 없기 때문이다.

https://youtu.be/1MJsQ1kyN5o?si=bvZTw1BMeebBZz_x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