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29일부터 2월 3일까지 주역괘 해석,

2024. 1. 28. 09:41주역과 인문 동양학

728x90
반응형

2024년 1월 29일부터 2월 3일까지 주역괘 해석,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2024년 1월 29일부터 2월 3일까지 주역괘를 본괘本卦 52간위산艮爲山을 얻고, 2효가 움직인 변괘變卦 18 산풍고山風蠱를 잡고, 일의 진행을 살피는 호괘互卦 40 뇌수해雷水解 괘를 잡았습니다.

 

주역에서 진행하는 일이 장애에 직면하는 상황은 뇌성 벽력이 물속에 갇혀 있는 형세인 수뢰둔水雷屯괘와, 거친 강과 험난한 산이 눈 앞에 펼쳐 있는 수산건水山蹇괘로 해석합니다. 실마리를 찾기 어려운 현실 상황에 발이 묶여 앞으로 전진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간艮은 방위와 계절로 늦가을에서 겨울로, 눈과 얼음이 덮인 높고 강한 기운의 산이 돌출되어 천지가 어긋난 형상을 의미하고, 험난한 산 앞에 걸음을 멈춘다는 의미로, 간艮은 멈춤이라는 간지야艮止也로 불립니다.

간艮은 어려움이나 난국에 처한 상태가 아니고, 때와 시기가 아직 목적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의 진행이나 걸음이 멈춘 상태로 해석하게 됩니다. 아직 구성원들 생각이 하나되어 조화를 얻지 못하고, 일의 형상이 구체화 되지 않았고, 일의 목적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결론으로 진행이 멈칫대는 상태로 보입니다. 이 상태가 상하上下가 서로 응하지 않음으로 그 몸을 얻지 못했다는, 상하적응불상여야上下適應不相與也 시이불획기신是以不獲其身 구절이 나옵니다.

고蠱는 바람이 멈추고, 신선한 기운이 막혀 소통되지 않으면 벌레가 생겨 사물을 훼손하고, 부패 시키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본분을 망각하고 무조건 남의 말을 듣고 그 뒤를 따르는 사람은 반드시 문제에 직면한다는, 이희수인자필유사以喜隨人者必有事 구절이 서괘전에 나옵니다.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집안에서 내부적인 변화를 착실하고, 조용하고, 분명하게 진행해야 함을 주문합니다.

해解는 언 땅이 녹아 해빙解氷되고, 막혔던 문제가 해소解消 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해解는 얼음이 녹는 서남방이 유리하다는 해이서남解利西南이라는 구절에 합당합니다. 새싹이 돋아나는 계절의 시작이고, 새로운 일이 마침내 풀어져서 기지게를 펴는 시기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본괘本卦 52간위산艮爲山은 외괘 간산艮山에 내괘 역시 간산艮山 겹친 괘가 되어 방위로 동북 간방艮方으로 어둠이 걷히고 밝은 태양이 뜨는 일출지시日出之時가 되고 새벽의 뿌리가 됩니다. 산이 첩첩해서 어려운 시기가 되지만, 동쪽 진방辰方을 앞두고 있어 내실을 기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가 됩니다. 상하上下가 같은 간괘艮卦이지만, 하괘는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성의誠意가 되고, 상괘는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간艮으로 멈춰서 안을 다듬어 밖을 향하는 의미를 지녔기 때문에 움직여야 때는 호괘 진辰으로, 멈춰야 때는 즉시 멈추고 나아갈 때는 즉시 나아가야 한다는 시지즉지時止則止 시행즉행時行則行 구절이 나옵니다. 도움을 얻지 못했다는 부증기수不拯其隨는 상하가 일치되지 않고 어긋난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에 멈출 밖에 없음을 의미합니다.

 

변괘變卦 18 산풍고山風蠱는 외괘 간산艮山 내괘 손풍巽風으로 2효는 집안의 일을 주관하는 어머니의 문제를 처리하는 같이 신중해야 함을 간모지고幹母之蠱를 주문합니다. 아버지의 일과 달리 어머니의 일은 신중하고, 차분하게 처리해야 함을 주문합니다. 이는 마침에서 다시 시작하는 하늘의 굳건한 움직임에 순응하는 종즉유시終則有始 천행야天行也 구절이 됩니다.

호괘互卦 40 뇌수해雷水解는 외괘 진뢰震雷 내괘 감수坎水 봄과 같이 어려움이 풀어지고 멈추었던 일이 다시 시작해서 돌아오니 빠르게 움직이면 길하다는, 유유왕숙길有攸往夙吉 구절이고, 움직여 어려움을 극복한다는 동이면호험動而免乎險이고, 서남방향이 이로움은 그곳에서 벗을 얻기 때문이라는, 해이서남解利西南 왕득중야往得衆也가 단사彖辭에 나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