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토오행土五行, 인간과 동식물의 오행五行 작용,

2023. 8. 15. 06:39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인간과 토오행土五行, 인간과 동식물의 오행五行 작용,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지상의 모든 생명체는 음陰의 작용이 응결된 토土를 기반으로 존재한다. 토土 기운의 합화合化 작용으로 무수한 종류의 새로운 생명체가 지상에 출현하게 되었다. 모든 존재는 체體를 본바탕으로 구성함으로 그 체형體形에 양陽의 기운을 안착 시키게 됨으로 생명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생명은 땅을 이룬 음陰의 바탕에 하늘 기운인 양陽이 깃들게 됨으로 완성되기 때문에 육체肉體와 정신精神, 이理와 기氣의 이원화二元化된 존재로 구성된다.

 

명리학의 12지신地神의 분류에서 동물들의 종류에 따른 오행 본성을 이해할 수 있다. 동작이 기민하고 빠른 호랑이와 토끼와 같은 짐승들은 목木을 바탕으로 하고, 평시에는 게을러 보이지만 급히 움직일 때에는 질풍노도와 같은 돼지와 쥐는 수를 바탕으로 하는 동물들이다. 뭍과 물속을 오가는 거북이와 용의 존재는 물과 불의 경계인 진토辰土를 바탕으로 하는 동물이다. 동물들 중에서 나무 꼭대기에서 생활하거나 따뜻한 불을 좋아하는 뱀과 원숭이와 조류들은 화火를 바탕으로 하는 동물로 구분된다. 물을 기반으로 생활하면서 껍질이 두터운 악어와 하마와 같은 동물들 역시 금수金水의 본성을 바탕으로 하는 동물들이 된다.

 

인간의 본래 오행 바탕은 토土가 된다. 인간은 토土의 복잡성을 그대로 닮은 존재여서 오행 전체에 막힘이 없기 때문에 토土 기운을 그대로 생명의 본류로 삼은 존재이다. 인체의 한 가운데 토 오행의 소화기 위장을 놓은 이유도 인간의 근본 본성은 토를 중심으로 한 존재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인간은 동물이나 식물들과 달리 이성理性과 감성感性을 지닌 가장 독특한 존재이다. 인간을 제외한 모든 생명체는 영靈과 생존본능生存本能을 가진 존재들이다. 일정부분 학습의 지능은 가졌지만 인간이 가진 감정적인 사고체계는 가지지 못했다.

 

인간의 감정感情과 이성理性의 작용은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은 영靈과 생존을 위한 본능의 백魄과 감성과 이성의 혼魂을 가진 완전한 삼위일체형三位一體形 생명체이다. 이런 점이 순수한 토土 기운을 바탕으로 하는 지상에서 유일한 존재라는 사실이다. 오행의 모든 기운을 활용할 수 있는 복합적인 본성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 존재는 가장 존귀한 생명체가 될 수 있다.

 

식물은 근본적으로 목木을 바탕으로 화火를 지향하는 존재가 대부분이다. 오행으로 목木의 기운은 식물의 존재와 비교에서 일치되지 않는 본성을 나타낸다. 목기운木氣運은 밖으로 기운을 발산하는 작용이고 그만큼 강한 본성인데 고정된 상태에서 생명을 존속해야 하는 식물의 체형體形과는 완전히 이질적인 본성이다. 그러나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밖으로 발산하는 작용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닐 수 있게 된 강점을 지니게 되었다. 나무들과 풀의 종류는 목기木氣를 바탕으로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결국 발산하는 화火를 바탕으로 진행하게 된다.

식물에서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는 곡식이나 양식을 기르는 종류들은 금金의 본성을 바탕으로 하는 생명체이다. 가을철 금金의 계절에 열매들을 완숙 시키는 작용은 그 생명의 바탕이 금金 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습기를 날려 보낸 뒤 금金의 딱딱함은 다음 해 파종과 그 동안의 식품으로 보관을 위한 방법이 된다. 이렇게 인간과 동식물로 오행본성五行本性을 구분함으로 인간의 본성을 더 분명히 할 수 있었다. \

https://youtu.be/Idlhb_TwvF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