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살七殺과 편관偏官 차이,부귀富貴와 상해傷害 편관偏官,

2023. 5. 29. 09:16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칠살七殺과 편관偏官 차이,부귀富貴와 상해傷害 편관偏官,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7번째 자리에 편관偏官이 있는데 일간을 극剋하는 작용으로 칠살七殺이라 부른다. 편관偏官, 편인偏印, 상관傷官, 겁재刧財를 4흉신이라 부르는데 이 4흉신을 사주에 두면 가능한 적절한 제어와 통제가 필요한 문제를 지닌다. 일간日干의 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과 수단이 달라지는데, 일간이 신강身强한 경우 식신食神으로 편관偏官을 제制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일간이 신약身弱한 경우 인성印星으로 화化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일간이 신강身强한데 편관격偏官格이 되고 외롭게 편관일위偏官一位만 자리하면 재성財星이 나서서 약한 편관偏官을 생부生扶하여야 된다. 이런 경우 격格을 이룬 편관偏官이 제 역할을 무난히 수행한다 해석한다. 사주에 편관偏官이 많은데 다시 정관正官이 있어 혼잡 될 때 재성財星이 자리함을 두려워 한다. 재財가 편관偏官을 도와서 기운이 강해지면 일간을 극剋하는 상해傷害의 칠살七殺로 바뀌게 되어 일생동안 곤란이 따르기 때문이다

 

사주에서 편관偏官이 약弱한데 통제하는 식신食神이 많으면 약살제강격弱殺制强格이 구성된다. 반대로 사주에 편관偏官이 강强하고 세력이 왕성한데 통제하는 식신食神이 약弱할 때에는 강살제약격强殺制弱格이 구성된다. 이런 격格이 구성되면 사주는 힘들거나 수명이 짧은 것으로 해석하고 평생 어려움과 위해危害가 따른다 해석한다.

 

일간의 기운이 왕旺한데 편관偏官의 기운 역시 강强하면 신살균정身殺均停이라 해서 평생 부귀영화를 누리는 명命이라 해석하게 된다. 이런 사주의 경우 관직官職에 진출하면 고관高官이 된다 해석한다. 일간이 신왕身旺하고 칠살七殺 역시 기운이 왕성해서 균형을 이룰 때에는 유능한 명命이 된다. 편관偏官의 본성은 선두에서 무리를 이끌 기상을 지니고 남과의 경쟁에서 지기 싫어하고 승부욕이 무척 강하다.

 

편관偏官은 통제하는 식신食神이 자리하면 사회적으로 품격과 명망名望을 가지는 것으로 본다. 이런 경우 식신食神을 무력화 시키는 편인偏印의 등장을 두려워 한다. 편인偏印이 있으면 발이 묶인 식신食神이 칠살七殺을 제制할 수 없어 사주에 문제가 발생해서 흉해凶害가 생기기 때문이다. 기운이 강력한 편관偏官과 양인羊刃과 식신食神은 기세가 강하면 조직에서 주도권을 잡고, 사회적 명망을 높인다 해석한다. 편관偏官은 이렇게 통제하는 육친을 만나면 실제적인 권세를 가지게 된다 보고, 남성의 경우 뛰어난 자식을 둔다 해석한다. 만약 사주에 정관正官을 두면 관살혼잡官殺混雜이 되어 도리어 천명賤命이 된다 해석한다.

 

칠살七殺은 길들인다는 순馴과 따르고 순종한다는 의미의 복服을 활용하는 두가지 법칙으로 적용시킨다. 길들인다는 순馴은 인성印星으로 생화生化하는 법칙을 의미하고, 순종한다는 의미의 복服은 식신食神으로 제복制服하는 법칙을 의미한다. 인성印星으로 화化하는 것은 덕으로 설득하고 순화시키는 덕화德化하는 방식이고, 식신食神으로 통제하고 제어制御하는 것은 힘으로 강요하는 것으로 병행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주에서 부귀富貴로 작용하면 편관偏官으로 해석하게 되고, 흉해凶害로 작용하는 경우 칠살七殺로 해석하는 것이 편관의 두 얼굴이다. 어떤 운명을 살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https://youtu.be/Gh5t0FY14V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