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과 여성 재생관財生官, 재성財星이 생生관官하는 원리,

2023. 1. 16. 10:59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남성과 여성 재생관財生官, 재성財星이 생生관官하는 원리,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서양의 격언에 과거는 알 수 있지만 바꿀 수 없고, 미래는 바꿀 수 있지만 알지 못한다고 말한다. 과거나 미래의 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눈 앞의 현실에 집중하라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미래가 어떻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진다. 바로 이 문제가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를 예측하고 알기 위해 무진 애를 쓰고 점을 치거나 신탁을 받아 왔다. 미래를 알기 위한 이런 노력들은 동양과 서양을 가리지 않고 모두 중요했다.

 

명리학의 육친법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재생관財生官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이야기다. 이 법칙은 남성과 여성에 각각 다른 의미로 해석되고, 작용이 된다. 더해서 보면 시대에 따라 다르고 과거와 현대에서 해석도 완전히 다르다. 재생관財生官은 쉽게 설명해서 돈이 관을 만든다는 의미로 설명이 된다. 요즘도 그런 광경을 자주 볼 수 있는데, 돈을 많이 번 기업가들이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진출하는 모습이 재생관財生官 작용이 제일 쉽게 표현된 것이라 해석한다. 

 

과거 여의도 정치권에 있었던 공천헌금이라는 명목으로 당 대표에게 정치자금을 주고 국회의원 자리를 매관매직하는 행위인 셈이다. 돈으로 관직을 구입하는 행위는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래서 재관財官의 의미가 돈과 벼슬로 서로 분리되기 어려운 속성을 지닌 것으로 해석하게 된다. 말 그대로 돈으로 뭐든 할 수 있었던 시대였고, 지금도 그런 문제에서 완전하게 탈피한 것은 아니다. 재성財星이 모든 육친에서 항상 선두에 자리하는 이유는 그만큼 인간의 삶에서 활용도가 높은 최고의 가치를 지닌 육친이기 때문이다.

 

재생관財生官이 가진 의미는 남성의 사주에서 볼 때 가장 분명한 이유를 지닌다. 남성에서 재성은 가족관계로 해석하면 아내가 되고 관성은 자식이 된다. 쉽게 말해서 남성이 결혼을 해서 아내와 함께 할 수 있어야 자식을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가계를 이어가고, 자손을 번창시키는 것이 고대 사회의 가장 큰 덕목이었고 바램 이었다. 그 일이란 무조건 아내를 얻어야 비로소 모두 가능한 일이 되었다. 그래서 결혼이 남녀 모두 인생에서 가장 큰 행사인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로 인정받아 온 것이다. 

 

여성의 운명에서도 재생관財生官의 의미는 분명하다. 뛰어난 재능이나 자질을 갖춤으로 좋은 남편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재財는 이루는 것이고 완성시키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여성에서 재성財星이란 현모양처의 자질을 이루는 것을 의미했다. 그런 뛰어난 자질을 가진 여성은 그런 자질에 합당한 좋은 남편을 만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가 재생관財生官의 분명한 목적이 된다. 여성의 입장에서는 가변적인 부분이 추가 되는데, 그런 뛰어난 자질이 현대에서는 결혼과 함께 본인의 사회적 입지를 굳히는 작용을 하게 되는 점이다.

 

재생관財生官이라는 법칙이 현대에서는 가족관계 구성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관계로 확장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결혼이 가진 의미가 점점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나타낸다. 가족관계가 느슨한 사회적 관계로 넓어지면서 가족관계가 지닌 구속력과 제한된 한계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자식이라는 존재를 포기함으로 결혼이 가진 의미가 약화되고 있다. 관官이 떨어져 나간 단순한 재생財生으로 돈에 더 집착하는 현대인들의 삶의 형태를 만들어내게 된 이유로 보인다. 

https://youtu.be/VWKLOwpiA2g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