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결혼을 해야 하나? 성인成人이 못되는 미혼未婚,

2022. 10. 19. 10:08행복과 불행과 인생

728x90
반응형

왜 결혼을 해야 하나? 성인成人이 못되는 미혼未婚,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명리학에서 결혼은 매우 쉽고 단순하게 결론을 내려주고, 성인이 된 남녀가 왜 혼자 살지 않고 결혼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짝을 이루고 살아야 하는 일에 대해 의미와 한계를 분명하게 설정해 주고 있다. 명리학 법칙은 결혼의 유익한 점과 불리한 점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결혼은 가정을 이루는 가장 기본 단위이기 때문에 결혼하는 사람들이 없으면 가정이 만들어지지 않고 결국은 인구부족으로 지방이나 하나의 나라가 구성되지 못하게 된다고 해석한다. 결혼은 개인적인 행불에 그치지 않고 큰 안목으로 볼 때 사회와 국가적인 행불과 직결되는 큰 문제이다.

 

남성에서 아내를 만나 이루는 결혼은 가정과 경제적인 안정을 얻게 된다는 것이 명리학적인 기본 해석이다. 여성이 남성과 만나서 이루는 결혼은 가정을 이룸으로 안전한 보호와 행동의 규제를 동시에 얻게 된다는 것이 명리학의 근본 해석이다. 남성에서 결혼은 아내라는 존재와 더불어 재산과 재물과 돈을 의미하는 재財를 얻는 적극적인 행동의 결과이다. 남성에서 아내는 자신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재물의 총 책임자를 의미한다. 여성에서 남편과 함께 하는 결혼은 안전한 보호자를 얻는 일이고 동시에 가정과 가족의 틀 안에서 생활의 규제를 의미하는 관官을 얻는 의미가 된다. 여성에서 남편은 확실한 아군이 되고 보호자이면서 규제를 하는 통제관을 의미한다.

 

현대인들의 생활 방식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독신의 유형을 살펴보면 이런 의미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독신 남성 대부분은 이상하게도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자신이 노력한 만큼 재물을 저축하기 어렵고 자산의 규모 역시 키우기 어렵다. 그것은 외부생활을 보상해 줄 내면의 안정을 얻을 수 없고, 재산과 재물을 관리하는 아내라는 관리 총책임자의 도움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독신여성은 밖으로 표현하지 않지만 사회적 활동에서 보이지 않는 소외감과 함께 불안감과 심리적 압박감과 고독을 지속적으로 느끼며 살아가게 된다. 여성의 경우 천성적인 본성이 재성財星의 존재이기 때문에 남성과 비교에서 일정한 규모의 경제적인 안정을 쉽게 얻지만 매사 모든 것을 강탈당할 수 있다는 심리적인 불안감 때문에 평온함과 안정을 얻지 남의 눈치를 보며 살아간다.

 

명리학에서 남녀가 만나고 이루는 결혼의 의미는 매우 현실적이고 정신적이고 실질적인 문제이면서 가장 근본적인 측면에 집중한다. 남성과 여성 모두 독신 생활이라는 현실을 살아가는 것이 앞에서 이야기한 문제들 때문에 안정을 얻기 어렵고 여러 면에서 불만족 상태의 생활을 지속하게 된다. 미혼 상태의 남녀는 무엇보다 사회적 시선으로 미성숙된 존재라는 인식을 항상 안고 살아가야 하는 부담과 내면의 고독과 외로움을 벗어나기 어렵다.

 

출생에서부터 개별적 존재로 태어난 남녀는 결혼이라는 결합 과정을 통해서 남편과 아내로 가정을 이룸으로 완전한 짝을 만나고 두 사람만의 시공간인 가정을 이루게 된다. 그 뒤를 따르는 자녀의 출산을 통해서 남녀는 남편과 아내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로 책임과 역할을 성장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미혼未婚에서 성혼成婚을 통해 사회적으로 완전히 성숙된 존재로 성인成人이 되었다는 인정을 받게 되는 것이다. 사실 부모라는 의미는 인생에서 완전히 새로운 역할과 책임으로 생활 속에서 내면의 지혜를 키우는 큰 기회를 얻게 된다. 이것이 명리학으로 해석하는 결혼의 근본 의미가 된다. 결혼은 인간적 본성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고 코스라는 말이다. 결혼에서 성인이 되고, 부모의 역할을 책임지는 필연의 과정이라는 말이다.

https://youtu.be/UNAYHqHEv9Q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