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구분 12단계, 포태법 12운성법運星法 - 2,

2022. 3. 18. 06:53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인생 구분 12단계, 포태법 12운성법運星法 - 2,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amazon book - GOLD GAME 1-6,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12 운성법은 절絶(포胞) - 태胎 - 양養 - 장생長生(生) - 목욕沐浴- 대帶(冠帶) - 건록建祿 - 제왕帝王(왕旺) - 쇠衰 - 병病 - 사死 - 묘墓(고장庫藏)의 12단계로 인간 운명을 구획하고 각각의 단계별로 운명의 작용과 상황을 통해서 인간의 삶을 해석하는 법칙이다. 사주팔자의 네 기둥에 12운성의 어느 단계가 들어 오는지를 살펴서 종합적인 운명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12운성법은 사주팔자에서 각각 네 기둥에 하나의 단계로 해석되고, 운에서도 12운성법으로 그 해당 단계의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12운성법은 인터넷의 12운성표로 확인할 수 있고, 일간을 기준으로 삼아서 지지의 상황을 판단하게 된다. 일간을 기준으로 지지의 년월일시지年月日時支를 판단하게 된다. 이 법칙은 천간 오행의 음양을 기준으로 순환되는 방향을 결정하는데, 갑, 병, 무, 경, 임 양간陽干은 순행順行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을, 정, 기, 신, 계 음간陰干은 역행逆行의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것은 양간陽干의 생지生地에서 음간陰干이 죽고死, 음간陰干의 생지生地에서 양간陽干이 사死하는 작용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12운성법은 12개로 구분되는 운명의 단계를 있는 그대로 해석하는 방법과, 12단계에 해당되는 오행을 육친으로 치환해서 확인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어 다양한 해석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법칙이다. 이런 호환성이 큰 법칙의 장점을 살려 일본에서는 12운성법으로 운명의 길흉을 해석하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정통법칙에서 용신이나 왕세를 가진 오행이 장생, 제왕, 관대 등의 기운이 강한 단계를 만나면 좋은 것이지만 쇠, 병, 사, 묘의 기운이 약한 단계를 만나면 흉한 것으로 해석한다. 기신의 경우는 쇠, 병, 사, 묘를 만나면 작용이 약해지지만 생, 왕, 관을 만나면 기세가 강해져서 흉하게 된다.

 

절絶(포胞)은 물질적인 생명이 시작하는 단계로 아직 여리고 서툴고 소심하고 내성적인 본성을 지닌다. 새로운 생명의 출발단계이기 때문에 큰 성공이나 명예를 지니기 어렵다. 생명을 시작하는 단계가 가지는 생식능력이 강하지만 인내심과 지속성이 부족한 면이 많다.

태胎는 물질적 생명에 영의 존재가 이식된 단계로 호기심과 생각과 상상력이 활발한 본성을 지닌다. 육체적으로 완성되지 않은 단계이기 때문에 활동력 보다는 생각이 복잡하고 아이디어가 많고 집중력이 강한 특징을 지닌다. 체질적으로 강하지 못하지만 뛰어난 생각이 많은 사람이다.

 

양養의 단계는 어린이의 성장과 자립의 단계가 된다. 성장은 부모의 돌봄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생명력으로 성장하는 시기가 되기 때문에 오히려 부모와 인연이 엷어 양자나 친척집에서 성장하는 특징의 단계가 된다. 아직 어리기 때문에 조심성과 겁이 많은 본성이고, 빠르지 않고 느린 언행이 나타나는 단계가 된다.

장생長生(生)은 청소년 시기로 활달하고 동화되는 적응력과 친화력이 강한 본성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순수하고 총명하고 뛰어난 인재로 인정을 받는 자질을 지니고 운명에도 막힘이나 장애가 크게 없다.

목욕沐浴은 청년기로 신체작용과 이성에 대한 관심이 강한 시기가 된다. 잘 씻어 빼어난 미모가 운명의 질곡이 되기 쉽고, 언행이 가볍고 안정을 취하지 못할 정도로 외부 환경에 반응이 빠르다. 관심이 밖으로 쏠린 탓에 상식이나 규칙에 묶이지 않는 기질을 나타내는 문제를 지닌다.

https://youtu.be/oHOhqGeZAK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