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회輪廻비밀 12운성법 - 1, 우파니샤드와 영생永生과 사자서死者書,

2022. 3. 17. 07:14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생명윤회輪廻비밀 12운성법 - 1, 우파니샤드와 영생永生과 사자서死者書,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amazon book - GOLD GAME 1-6,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필자가 꼽는 수 천개 명리학 법칙에서 가장 독특한 법칙은 당연히 12운성법運星法이다. 명리학은 실증적이고 현상에 치중하는 과학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형이상학적인 법칙이나 술법에 대한 경계를 분명히 나타낸다. 인간 생명의 윤회와 같은 종교적 문제에 대해서 가능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 정통 명리학의 기준이다. 그런데 유독 인간 생명의 윤회에 대한 노골적인 법칙을 인정하는 분야가 바로 포태법으로 알려진 12운성법이다.

 

12운성법運星法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경우 정통명리학 법칙에서 제외시켜 신산류와 같은 분류로 구분하고 있다. 실제 활용법에서도 비중을 크게 두지 않고 일간을 중심으로 월지와 일지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2운성법의 가장 큰 작용성은 월지에 있다고 해석하게 된다. 12운성법은 인간생명의 윤회에 대해서 종교적 교리와 잘 적응된 일본에서 명리학이 아닌 추명학推命學의 기준 법칙으로 포괄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12운성법運星法의 독특한 운명 해석법은 인간의 생명을 12단계로 구획을 지우고 그 단계마다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의 단계를 접목시켜 해석한다. 절絶(포胞) - 태胎 - 양養 - 장생長生(生) - 목욕沐浴- 대帶(冠帶) - 건록建祿 - 제왕帝王(왕旺) - 쇠衰 - 병病 - 사死 - 묘墓(고장庫藏)의 12단계에서 가장 주목되는 단계가 바로 죽음의 단계인 사死와 묘墓의 구분이고, 생명의 시작 단계에서 포胞와 태胎로 구분하는 점에 있다. 육체적인 죽음의 사死와 소멸의 묘墓를 구분하고, 물질적 결합인 포胞와 물질에 정신이 접합되고 윤회되는 태胎를 구분하는 점에 있어 가장 확실한 생명의 순환과 윤회의 단계를 나타낸 운명의 체계적인 법칙의 가치를 지니는 것이다.

 

기원전 1,200년경에 씌어진 인도 철학고전 우파니샤드는 인간 생명의 윤회에 대한 다양한 의문을 스승과 제자의 대담으로 묘사하고 있다. 주역周易 역시 상나라를 이은 주나라 시대인 기원전 1,100년경에 완성된 철학서이다. 비슷한 시대에 세상에 출현한 인류의 고전은 인간 생명의 윤회에 대한 분명한 기록을 남겨 놓고 있다. 명리학은 주역의 아류에서 시작된 천문학과 연관성이 깊은 학문으로 계절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명리학에서 12운성법이 완성되고, 기원전 560년대 전후에 존재한 것으로 알려지는 석가모니는 인간생명의 윤회를 설법을 통해 밝혔다. 8세기에 이르러 파드마 삼바바라는 티벳 불교 창시자는 저서인 사자死者의 서書를 통해서 죽은 인간의 영혼이 다시 생명을 얻어 출생하는 48일간의 기록을 남겼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영생永生이란 부활復活을 통한 영생이라는 의미로 신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영생이란 부활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마지막으로 구현되는 축복이다. 예수의 재림과 같이 부활을 이루어 영생을 얻는다는 신학적 교리는 다른 의미로 인간 생명 윤회의 반복을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이기도 하다. 신학적 부활이란 결국 새로운 생명을 위한 탄생이라는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돌아온다는 의미의 복復은 새롭게 생명을 얻어 태어난다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결국 영생이란 윤회속에서 얻어지는 새로운 생명의 연속이라 해석할 수 있다.

명리학에서 가지는 12운성법의 위치는 매우 독특하고 기존 명리학의 정통적인 용신, 격국, 조후 등의 다양한 기준점에서 이탈하는 새로운 지혜의 지평을 열어주는 학문이라는 점을 이해하길 바란다.

https://youtu.be/NntLsK7sIP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