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리스 기술자와 의사醫師, 유대인 자녀의 직업선택,

2024. 3. 15. 08:12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팹리스 기술자와 의사醫師, 유대인 자녀의 직업선택,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드 인 아이스1, 명리학에세이 모닝커피와 솜사탕,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팹리스Fabless는 제작이라는 의미의 Fabrication과 빼다는 less 두 단어의 합성어로 삼성이나 SK하닉스 같은 반도체 생산 공장없이, 반도체 설계만 전문으로 하는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NVIDA, 퀼컴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들의 작업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삼성과 SK하이닉스와 대만의 TSMC는 이들 세계적 기업들의 반도체 설계가 완료가 되면, 주문 오더를 받고 반도체를 위탁생산 하는, 주문형 반도체 생산 공장이다.

 

현재 우리나라 정보IT 기술에서 경쟁국들과 비교에서 가장 뒤쳐져 있고, 기술적인 낙후를 나타내는 분야가 바로 무공장 산업형태인 팹리스 분야와 컴퓨터 시스템 분야이다. 대만은 물론이 중국보다 기술적 낙후는 더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내 몇 군데 기업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있지만 기술적 격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는다. 세계적인 초대형 팹리스 기업들은 전부 미국 실리콘 밸리에 자리하고 있고, 중국과 대만이 바짝 뒤를 쫓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 분야와 팹리스 분야에 일하는 전문 엔지니어들의 대우는 우리나라 최고 인재들이 숭고한 직업 의식 보다는 고액의 급여 때문에 몰리는 의사醫師들의 급여에 수십배를 넘어 수백배의 고액을 받는다. 실리콘 밸리에서 인도인 최고 경영자는 쉽게 발견할 수 있지만 한국인 출신 최고경영자는 찾을 수 없다. 달달 외우는데 익숙해진 암기 위주의 교육이 만들어낸 현상이다. 문제가 주어지면 완벽하게 해답을 찾아내지만, 먼저 문제를 발견한 다음에 답을 찾으라면 한국의 젊은이들은 한발짝 접근조차 못한다. 눈 앞의 이익에 함몰된 세태의 모습이다.

 

어릴 때부터 항상 주어진 문제만 풀어왔기 때문에 스스로 문제를 찾는 지능은 백지 수준에 가깝다. 창조創造는 무無에서 유有를 찾아내는 능력이고, 자질을 말한다. 한국의 교육은 교육일선의 선생님부터 유有에서 유有를 찾는 방법에만 숙달되어 왔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기술과 기능을 찾는 일에는 어느 누구도 도전할 의욕도 가질 수 없도록 교육되어져 왔다. 그래서 돈을 안전하고 오래 벌 수 있는 의사라는 직업에 환자의 생명에 대한 윤리의식도 없이 몰려드는 풍조가 만들어진 것이다. 의사가 되면 우리나라에서는 출세한 사람 취급을 받는다는 자기도취 때문이다.

유대인들은 어린 자식이 두뇌가 명석하면 먼저 과학자나 물리학자로 키우고, 그 다음으로 머리가 좋으면 현실세계에서는 신神보다 더 힘이 강한 은행가나 금융가로 키우고, 마지막으로 쓸만하면 의사나 기술자로 키운다. 십년이나 이십 년 뒤 미래는 미개척 분야인 팹리스 산업과 시스템 분야가 가장 각광받는 시대가 될 것이다. 엄청난 자본과 시설투자와 완벽한 품질로 생산해야 하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와 파운드리 산업은 큰 물량을 거래하는 도매장사와 비슷하다. 박리다매로 수익을 확보해야 하는 수지타산이 크지 않는 과거형 산업형태에 아직 우리는 빠져있다.

 

팹리스와 시스템 분야는 인간의 두뇌와 창의성이 공장이고, 시설투자인 셈이다. 이들 엔지니어들은 상상을 넘어서는 엄청난 급여를 받으며, 최고급 호텔 수영장에서 가족과 함께 즐기면서 노트북 하나만으로 자신의 일을 해낼 수 있다. 이들 엔지니어들의 지능지수는 우리나라 수재들의 지능지수와 차이 나지 않는다. 다만 저들에게는 창의성이 살아있고, 우리나라 수재에는 창의성이 소멸되었다는 점이 유일한 차이다. 지금도 학교에서는 일제日帝 명치유신明治維新 시대의 주입식 교육이 청소년들의 미래를 끊어 놓고 있다. 직업적 윤리의식도 없는 의사로 아깝고 귀한 수재들을 몰아대는 현실이다. 이 나라의 미래는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https://youtu.be/fXXj_a6Aplc?si=AZJWYTlzB8NVRfQ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