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의 건록建祿 자존의 양인羊刃, 같지만 완전히 다른 오행작용,

2022. 7. 7. 07:35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자립의 건록建祿 자존의 양인羊刃, 같지만 완전히 다른 오행작용,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같은 오행五行이라도 음양陰陽이 다르면 작용도 완전히 다르다. 건록建祿은 일간과 같은 오행인 비견比肩을 지지 일지日支나 월지月支에 놓은 사주를 의미한다. 그 자체로 격국이 형성이 되고 건록격建祿格으로 부른다. 양인羊刃은 일간이 양陽오행인 경우 겁재刧財가 칼이 되는 양인羊刃이 되는데 역시 월지月支에 양인羊刃을 놓으면 양인격羊刃格으로 격국을 형성하게 된다.

명리학에서 통상 비겁比刧은 격국格局으로 취하지 않는 데 건록격과 양인격의 경우는 특별하게 격국으로 인정하게 된다. 건록격으로 일지日支에서 성격이 되었는데 다시 월지月支에서 내외격으로 다른 격국이 성격이 되는 경우 월지月支의 격국이 기준이 된다. 건록격은 참고사항으로 해석한다.

 

건록격建祿格의 경우 다른 비겁比刧이 또 천간에 투간 하는 것을 피하는데 이것은 군겁쟁재로 재극財剋의 문제를 피하기 위함이다. 재살財殺이 사주에 같이 자리한 경우 살殺을 정리하고 재財를 보호하려 한다. 토土 일간의 경우 건록建祿 으로 비견比肩을 취하지 않고 인성印星을 취하는데, 무토戊土의 경우 사화巳火를, 기토己土의 경우 오화午火를 건록으로 취하고 월지에 자리하면 건록격이 성국 된다. 건록建祿은 정관을 반기고 공직자 생활에 적합한 성품을 지니게 된다. 건록은 재성財星을 끝까지 챙기고 보존하려는 의지를 가진다.

 

건록建祿의 운명은 양인羊刃과 비슷해서 비겁이 많은 사주가 가진 특징으로 부모와 인연이 엷고, 스스로 몸을 일으켜야 하는 자수성가의 운명을 타고난 것으로 해석한다. 목표의식과 의지와 함께 경쟁심이 강하고, 대인관계가 폭넓고 원만한 것이 특징이다. 장남장녀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 건록建祿의 운명이 된다. 자기 자신의 힘이 최대의 밑천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이롭다.

 

양인羊刃의 경우 일간日干이 양간陽干으로 구성되고, 음간陰干은 양인羊刃이 존재하지 않는다. 양인은 편관偏官 칠살七殺을 용신으로 활용하고, 관官을 극하는 상관傷官을 극도로 싫어한다. 양인은 극강의 기세를 가진 오행 작용으로 기세가 너무 강하면 흉기凶器가 되는 위험이 따른다. 목적을 달성해도 상대를 넘어뜨리지 못하면 물러나지 않는 악착 같은 본성을 지닌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과 조율이 먹히지 않는 인성을 지녔기 때문에 겁재와 작용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

 

양인羊刃은 관성이나 재성이 강한 상태를 반긴다. 적이 강해야 전의가 타오르기 때문에 격으로 귀격貴格이라 해석하게 된다. 반면에 일간日干이 다른 비겁比刧의 지원으로 신왕身旺 해지면 양인은 눈치를 보고 타락하게 되어 재財를 겁탈하는 흉凶한 작용에 머물게 되고 하격下格으로 취급한다. 그래서 강한 편관偏官 칠살七殺이 용신이 되고, 재성財星이 칠살을 지원하는 것이 관성이 강해져서 양인이 활동하기 더 유리하다 보는 것이다. 양인은 정관을 피하고 강한 편관을 반긴다.

 

사주 일지日支에 양인羊刃을 일인日刃이라 부른다. 일인日刃을 사주에서 정편관 혼잡을 싫어한다. 일인의 작용은 약한 일간의 지원작용에 그치기 때문이다. 운運에서 양인과 합충合沖하는 상관傷官 겁재刧財 운運은 주의해야 한다. 시지時支 양인羊刃은 흉凶하지는 않지만 관官을 반기고 재성財星을 싫어하고 운運의 합충合沖을 피하는 점은 일인日刃과 동일하다. 운運의 흐름에서 양인과 합충合沖이 되는 작용에서 흉凶한 일이 발생되기 쉽다.

https://youtu.be/QJc3MQRi_MU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