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健康한 사주 병病든 사주, 사주팔자와 질병疾病 ,

2022. 5. 8. 09:32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건강健康한 사주 병病든 사주, 사주팔자와 질병疾病 ,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amazon book - GOLD GAME 1-6,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인간의 삶이 행복하기 위한 최우선의 조건은 건강健康한 육체에서 시작된다. 건강을 위한 사주팔자는 질병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사주의 반대이다. 그래서 건강한 사주팔자란 일간의 상태가 신강하고 오행의 구성이 균형이 잡힌 상태를 의미한다. 사주에서 어느 하나의 오행이 너무 강하거나 약한 상태가 되면 그 해당 오행에는 반드시 문제가 일어나게 된다. 이것이 사주팔자가 정해 놓은 약弱한 운명이 된다. 우리 인간들은 대부분 그런 사주팔자를 무감각하게 살아가게 된다.

 

사주팔자 오행과 운명이 만드는 가장 심각한 문제들은 지난 몇 시간 이야기한 나쁜 질병과 난치병의 발병發病이다. 질병疾病이란 비슷한 의미를 지닌 다른 단어의 결합이다. 풍우風雨와 같이 비바람으로 같이 쓰지만 다른 의미를 지닌 두 단어의 결합과 같다. 질疾은 병을 의미하지만 증세가 외부로 나타나는 고통과 통증을 의미한다. 사고로 뼈가 부러지거나 골절이 되어 상처가 밖으로 나타나는 증세를 질疾이라 부르는 것이 정확하다. 병病이란 똑같이 병을 의미하지만 병증과 증세가 겉으로 노출되지 않는 인체 내부 장기 속의 증세를 의미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다.

 

사고에 의해 나타나는 고통이나 통증은 질疾이라 부르고, 만성적으로 인체 장기에 숨어있는 증상은 병病이라 부른다. 그래서 질과 병에 대한 치료와 조치가 완전히 다르다. 명리학과 사주팔자에서는 이런 질과 병의 구분이 가능한 것일까? 질병은 완전히 구분이 되어 있고, 분별이 가능하다. 다양한 사고로 겪게 되는 질疾의 문제는 급각살急脚殺, 단교관살斷橋關殺, 곡각살曲脚殺 등의 신살로 해석이 가능하고, 언제쯤 어떤 상황에서 사고와 문제가 생기게 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런 신살류와 함께 고려할 명리학의 법칙은 다양한 형살刑殺의 작용이다. 형살이란 질병의 발병과 수술 등의 문제와 사고나 법률적 소송의 문제로 해석되는 법칙이기 때문이다. 형살刑殺은 질병을 구분하지 않고 작용하게 된다. 건강한 삶을 위하거나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서는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가는 편이 모르고 대충 살아가는 것 보다 유리하다.

 

병病의 경우 발병이 되는 시기와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형살刑殺이나 백호살白虎殺이 작용되는 시기에 주의해야 한다. 백호나 형살이 나타나는 시기란 병의 숨은 증상이 발견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이미 병이 깊어진 상태라는 사실을 알아야 대처가 쉽다. 운의 작용을 통해서 숨어있는 병을 사전에 미리 찾지 않으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시점이 근접해서 숨어있는 병이 발견된다는 의미이다. 만약 그렇지 않고 대운의 초기에 발견할 수 있다면 그에 따른 조치를 서두르는 편이 유리하다. 대운大運의 작용이 필요하고 중요한 이유이다. 세운과 달리 10년 기간의 대운은 나쁜 운의 초기에 알아 차릴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니 사전 대처에 매우 유리하게 작용한다.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에 대한 이해와 명리학을 통해서 자신의 사주팔자를 잘 해석하는 것으로 건강을 지키고 행복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명리학의 모든 정보를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서 들을 수는 없는 일이다. 묻지 않는 질문에 미리 대답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스로 답이 필요한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전에 필요한 대비를 하는 것이 명리학 공부의 목적이다. 질병의 문제도 그렇게 풀어갈 수 있다. 아는 것이 힘이 되는 이유이다.

https://youtu.be/rYCRBG451E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