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부부는 사랑해서 함께 사나요?

남석의 돌 2021. 9. 25. 15:46
728x90
반응형

부부는 사랑해서 함께 사나요?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부부는 사랑해서 함께 사나요 아니면 습관 때문인가요?

대부분의 가정에서 부부는 엄밀하게 이야기해서 사랑보다는 환경과 습관으로 함께 사는 길을 선택한다. 환경이란 자식들과 그에 따르는 여러 조건들을 의미하고, 부부 두 사람은 결혼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사랑의 감정은 씻은 듯이 사라지고, 서로 익숙해진 습관에 따라 같이 한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부부의 관계란 참 미묘해서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서 공동생활의 편리함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부는 가정을 이루면서 남편과 아내 사이에 분업의 체계와 역할의 구분이 분명해진다. 물론 현대 가정에서는 부부의 경재활동과 양육의 공유에서 유리하고, 무엇보다 성적인 욕구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생활은 독신에 비해 이점이 많다. 그러나 이런 이점과 유리한 점들이 부부의 사랑으로 모두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일반적으로 부부는 사랑 없이도 한 가정에서 생활할 수 있고, 상당한 기간 지속되어 온 습관과 유리함에 따라 함께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랑이란 감정이고, 감정은 오감의 작용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 바뀌는 속성을 지닌다. 뜨거운 사랑의 열정이 10년 20년 또는 평생을 지속하기는 불가능하다. 솔직히 결혼 자체도 격정적이고 심장이 타는 듯한 열정적인 사랑으로 골인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공식적인 만남의 형태인 선을 본 다음 서로 호감을 가지면 일정기간 교제를 하다가 결혼에 도달하는 경우와, 일정기간 연애를 통해서 결혼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다. 결혼이란 교제와 다른 실제 생활이고 현실적인 일상이기 때문에 열정과 뜨거운 사랑의 감정이 지속되기 어려운 여러 장애물들이 뜨거운 감정에 찬물을 뿌려 댄다.

 

사랑의 감정이 그렇게 차츰 식어갈 때쯤 자식이 태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이다. 자식이란 부부의 애정과 사랑의 결과이다. 자식이 태어남과 동시에 부부는 거의 대부분 습관으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전환되게 된다. 상대에 대한 익숙함과 편안한 감정이 열정과 사랑에 대체된다. 그렇게 해서 양육의 시간이 시작된다. 자식이란 존재는 부부를 묶어 두었던 사랑이란 감정이 시효를 지났음을 알고 있는 것 같이 부부를 자식의 존재로 다시 묶어 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자식은 다소 불안했던 사랑의 가변성을 충분히 극복할 만큼 강하고 완벽한 접착제가 되어 부부를 이어준다.

 

그렇다면 사랑 없이 습관으로 한 집안에서 부부가 살아가는 것이 행복한 삶인가 하는 문제는 별개이다. 사람들은 행복한 삶 보다는 편안한 삶을 선택하는 경향이 많다. 그리고 솔직히 행복한 삶이라는 것에 대해서 뭐가 진정 행복한 것인지 잘 모른다. 행복한 삶이 어색하고 불편할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에 행복을 찾으려 시도조차 하지 못한다. 혹시 손에 잡고 있는 편안함과 익숙함 조차도 사라질까 두려운 탓이다.

 

행복이 거창하고 돈 많고 부자가 되어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요즘 사람들 모두 오해하고 있다. 가지고 싶은 것 다 가지는 것이 행복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부자를 행복으로 잘못 해석한 것이다. 부자라고 해서 행복한 인간은 절대 될 수 없다. 행복은 스스로 만족하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현실을 이해하고, 만족하고, 귀중하게 여기는 마음이 행복이다. 그렇기 때문에 행복은 돈으로 살수 없고, 밖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이다. 행복은 당신 마음 속에 있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과 사랑을 행동 하는 것은 다른 일이다. 부부는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되는데 사랑을 행동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어쩌면 부부가 느끼는 편안함과 익숙함은 사랑을 격정적인 행동이 아닌 마음으로 느끼는 것일 수 있는 것이다. 행복이 마음의 만족에 있듯이 사랑의 감정 역시 마음으로 느껴야 하는 차원으로 바꿔 나가는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마음으로 사랑을 느끼고 그 느낌으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삶을 이루어가는 것이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https://youtu.be/URTZle0Fma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