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孫子와 환생還生 관계, 생명 윤회輪廻의 절차와 순서,

2023. 12. 7. 10:11명리학과 사주팔자

728x90
반응형

손자孫子와 환생還生 관계, 생명 윤회輪廻의 절차와 순서,

 

***남석이 지은 책들 - 미래를 보는 창, 월지통변비법 1,2권, 초한시대인물평전 1,2, 3권, 골드게임 1, 골드워 2, 골드 체인3, 건곤문언전, 명리학 몸풀기 1권, 명리학 정리정돈 2권, 계사상전해석, 게사하전 해석, 나라를 망친 여인들, 명리학 몸 만들기 3권, 역사의 승자와 패자, 일본의 인물상, 골드 인 아이스1, amazon book - GOLD GAME 1-6, Gold In Ice1, -. 책구입처 : https://www.bookk.co.kr/chun2040

현대 과학과 의학이 순수한 미개척 분야로 접근조차 불가능한 영역은 죽음과 생명반복의 윤회輪廻와 관련된 비밀이다. 무수한 경험적 사실들이 존재하지만 물질과 비물질의 영역에 묶인 현대의학은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들의 반복되는 윤회 현상에 대해서는 어떤 접근 시도조차도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정해 왔다. 물질적 육체로 해석할 때 생명의 윤회란 불가능한 것이고, 완전히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났음을 주장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죽음은 물질적 생명의 소멸이고자 완전한 마감으로 현대의학은 해석했고, 기독교의 교리도 단발성인 일회용 생명의 교리를 지켜온다.

 

그러나 서양의 현대 철학과 정신과학 분야를 연구하는 의사와 교수들은 생명의 환생과 인간생명의 무한한 윤회輪廻를 경험적 사실로 믿고 있다. 1회용 단발 생명을 교리로 하는 서양 기독교는 이미 쇠퇴를 거듭하고, 신자가 사라진 넓고 텅 빈 교회건물의 재 활용을 수없이 많은 지역정부에서 고민하고 있다. 종교적 대체현상으로 불교와 힌두교가 서양 사회의 지도층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현상은 이미 197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서 오늘날은 익숙한 사회적인 현상이다.

 

이런 사회적 추세와 경향의 변화와 더불어 가장 빠르게 확산되는 변화는 생명의 환생과 윤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윤회의 절차와 순서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고 뚜렷한 해석과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문제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많지만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난제이다. 윤회輪廻는 죽음으로 시작되는 자연현상이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동양 철학이 죽음에서 생명으로 다시 전환되는 종시終始의 개념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시종始終이 아니고 종시終始가 됨으로 한바퀴 순환循環을 완성하게 된다.

죽음을 맞이한 종終한 그 지역에서 반드시 생명을 다시 시작始作하게 된다. 미처 새로 시작하지 못한 생명은 그 땅의 기운에 묶인 존재로 오래 머물러야 하는데 이것을 땅에 묶인다는 지박地縛이라 부른다. 이 원리는 생명이 마감된 곳에서 항상 새로운 생명이 시작되는 자연법칙에 순응하기 때문이다. 동식물 모든 생명은 이 법칙에 따라 생멸生滅을 순환하게 된다. 인간의 생명 역시 동식물과 동일한 절차와 과정을 밟게 된다.

인간의 윤회는 가족을 통해 나타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윤회와 순환의 과정이 된다. 특히 정착 농경민족으로 이동이 자제 된 상태에서 살아 온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특별하지 않으면 대부분 가족으로 윤회의 고리를 찾게 된다.

 

쉽게 부르는 가족의 호칭에서 윤회輪廻의 고리를 찾을 수 있는데, 자식子息은 윤회의 고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쉰다는 식息이 되고, 정상적인 윤회의 고리는 손자孫子가 된다. 자손子孫을 의미하는 손孫은 윤회의 고리가 되기 때문에 세대世代를 이어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손자孫子를 부모로 윤회輪廻하게 된다는 의미가 된다. 살아 생전에 가장 귀여워하고 많이 챙겨준 손자나 손녀를 부모해서 할아버지나 할머니는 다시 삶을 얻는 윤회를 이어가는 것이 정상적인 절차가 된다.

 

현대인들과 같이 독신獨身으로 자식이 없거나 가족이 없는 경우라면 대부분 다른 집안이나 죽음을 맞이한 지역 인근에서 빈 인연을 찾아 생명을 이어가는 윤회를 이어가게 된다. 특히 생소한 곳에서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한 경우라도 그 지역에서 환생과 윤회를 이어가게 된다. 이런 경우 자신의 지난 생의 고향으로 대부분 윤회한 이후에 이민 등으로 돌아가는 과정을 겪게 된다.

https://youtu.be/2F8aOkrDo7I?si=QBL01isw5vL71yH4

 
728x90
반응형